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9:4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새만금 희망찾기 프로젝트] ⑭새만금이 걸어갈 길 먼저 걷고 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국내 간척지 대표 성공사례
황무지에서 마천루와 고급 주거단지 들어선 국제도시로
불과 2016년만까지만 해도 유령도시로 평가
새만금 투자와 국제지구 전략 벤치마킹 필요성

image
송도 국제도시 야경/사진=김윤정 기자

인천광역시 연수구 남서쪽 해안에 자리한 인천 ‘송도국제도시’는 새만금이 걸어갈 길을 먼저 걷고 있다. 송도 역시 과거 드넓은 갯벌이었다. 간척지로 개발된 이후엔 환경파괴 논란과 함께 언론 등으로부터 ‘유령도시’라는 오명을 썼다. 그러나 현재는 마천루를 자랑하는 상업지구와 주거지 등이 어우러진 국내 대표적인 국제도시로 자리 잡았다. 

송도는 인근에 인천국제공항, 인천항과 크루즈 터미널, 철도까지 갖추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image
송도국제도시 계획도/출처=인천자유경제구역청

△송도와 새만금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일원의 해상을 간척해 조성된 자유경제 도시다. 약 40조원의 민간 자본 조달로 진행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 도시 개발 사업인 송도 국제도시는 싱가포르, 두바이 등 도시들의 국제도시 개발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만금과 닮아있다. 하지만 송도는 수도권은 물론 인천공항과의 인접성 등으로 민간투자가 활발한 것과 반대로 새만금은 국가투자에 기대고 있는 형편이다. 송도는 인천은 물론 수도권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가 느는 지역으로 지난 2020년 17만 8000명이던 인구는 올해 20 여 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2030년에는 54만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질 전망이다. 

image
송도 국제도시 계획도/출처=인천경제자유구역청

△새만금과 같았던 시작점

송도국제도시는 지난 1986년 인천국제공항의 배후지구로써 처음 구성됐다. 당시 인천광역시는 도시계획국장 등 실무자들이 중심이 돼 계획을 세웠고, 1988년 4월 이재창 시장이 노태우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최종계획은 새만금과 비슷한 시기인 1991년 5월 확정됐다. 하지만 두 간척지의 발전 속도는 매우 달랐다. 초반에 송도 간척지 사업은 새만금처럼 갖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실제 송도 간척지 착공은 1991년 10월, 1992년 3월 등으로 계속 연기되다가 1994년 9월 10일에 첫 삽을 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에는 새만금이 내우회환을 겪는 것과 다르게 순조롭게 진행됐다.

image
송도의 랜드마크 포스코 타워/출처=인천관광공사

△가속붙은 개발사업 

2002년 3월에 미국의 부동산 업체 게일 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이 송도 개발을 위해 합작 투자한 기업 송도신도시개발(NSC)이 설립됐다. 국가에선 송도신도시를 2003년 8월 5일에 청라지구 및 영종지구와 함께 대한민국의 첫 경제자유구역인 인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했다. 2005년엔 송도국제도시 마스터플랜이 완성됐고, 같은 해 3월 7일 송도 컨벤션센터의 착공과 함께 국제업무지구 개발 시작으로 도시 인프라가 속속 들어섰다. 

2009년에는 회의 시설인 송도 컨벤시아와 송도의 중심인 센트럴파크 등 1단계 업무 및 주거 시설과 인천대교까지 완공됐다. 2010년 미국 명문 채드윅 국제학교가 개교하자 서울에서까지 인구가 몰려들었다. 이 수요는 2011년 초고층 아파트와 빌딩으로 충족됐다.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가 들어왔고, 2013년 G타워(150m, 33층)가 문을 열었다. 

송도의 간척사업은 현재진행형이다. 인천 송도는 총 11개의 공구로 나눠 개발되고 있는데 이 중 지난 2020년을 기준으로 1, 2, 3, 4, 5, 7공구가 개발이 거의 완료됐다. 6, 8, 9, 10공구는 개발이 진행 중이다. 특히 10공구에는 인천 신항은 사업을 이미 마쳤다. 마지막 개발 지역인 11공구가 매립이 진행되고 있다.

image
인천대교 야경/출처=인천경제자유구역청

△국제공항의 힘 

송도의 성공을 결정지은 것은 역시 우리나라 최대의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에 기인한다. 또 인천 신항 역시 기업들이 송도에 둥지를 틀게 만드는 요인이 됐다. 아울러 서울과의 대중교통 등 인접성으로 국내 많은 유명인들이 송도에 살고 있다.

이를 통해 새만금 국제공항과 신항이 새만금의 미래를 결정 짓는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도 바로 인근 영종 국제도시에 인천국제공항이 자리한다. 송도국제도시는 영종도와 함께 에어로트로폴리스에 포함된다. 에어트로폴리스는 에어포트(Airport · 공항)와 메트로폴리스(Metropolis)의 합성어로 공항을 중심으로 관련 인프라와 산업이 같이 발전하는 도시를 뜻한다. 새만금이 나아갈 방향 또한 에어트로폴리스다. 송도와 공항을 잇는 대표적인 인프라는 인천대교다. 인천대교를 통하면 송도에서 공항까지는 20분 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대중교통도 많다. 송도-인천공항을 잇는 대중교통은 인천 버스 303, 인천 버스 303-1, 인천 버스 330, 공항버스 e6101, 공항버스 e6104, 공항버스 6770, 공항버스 6777 등의 노선이 있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나 송내대로와 벌말로를 이용하면 김포국제공항도 금방이다. 소요시간은 교통상황에 따라 약 30~40분 정도 걸린다.

image
채드윅 국제학교 정문/사진=김윤정 기자

△교육인프라와 인구증가

교육열이 높은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치는 곧 교육환경이 좌우한다. 서울 강남 일대의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싼 것도 학부모와 학생들이 원하는 교육인프라에 있다.

그만큼 교육 시설은 인구를 유입시키는 가장 첫 번째 요인으로 교육환경이 갖춰지면 자연스레 주변의 인프라가 동반 성장하는 추세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송도에 기업들이 국내 대기업과 해외기업들이 둥지를 튼 데에는 이들의 교육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학교들을 대거 유치했기 때문이다. 전북혁신도시 동반 이주가 어려운 원인 1순위가 교육인 점을 볼 때도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김관영 전북지사가 지방선거 공약 1번으로 새만금 테마파크와 국제학교 유치를 강조한 배경도 바로 여기에 있다.

송도는 이미 강남에 이은 ‘교육 성지’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1, 2공구 일대는 전국적으로 우수한 학군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학군의 중심인 강남과 목동인근의 학교들과 비슷한 수준의 학업 성취도를 자랑한다.

송도 교육의 핵심은 국제학교로 2010년 9월에는 미국 명문 사립학교 채드윅스쿨의 분교인 채드윅 인터내셔널이 개교했다. 해당 학교는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모든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송도 채트윅스쿨은 고등학교 과정 기준 1년에 기본 4000만 원의 학비에도 엄청난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에는 캐나다의 ‘칼빈 매니토바 국제학교’(CMIS)가 송도에 설립 승인을 받았다. 대학시설도 확장되고 있다. 교육여건이 우수하니 초중고, 대학은 물론 취업까지 송도 내에서 모두 이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 셈이다.

대한은 겐트대 글로벌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 연세대 국제캠퍼스, 유타대 아시아캠퍼스, 한국조지메이슨대 등이 개교했다. 향후에는 케임브리지대 바이오 밀너 연구소와 스탠퍼드대 미래도시 연구소 등이 문을 열 계획이다. 또 서울대와 존스홉킨대의 메디바이오 콤플렉스, 인하대 송도사이언스 캠퍼스, 한국외대 송도국제캠퍼스 등도 개교가 예정돼 있다.  

image
송도센트럴파크/사진=인천관광공사

△쇼핑시설 

'송도국제도시'의 대형 쇼핑시설은 '트리플 스트리트'가 대표적이다. 지난 2017년 4월 문을 연 트리플 스트리트는 개장 한 달만에 방문객 100만명을 돌파했다. 600m 길이의 쇼핑라인을 중심으로 유명 브랜드 매장과 영화관, 가상현실 테마파크 등이 들어서 있다. 신세계 역시 백화점 부지를 확보하고, 개발계획을 추진 중이다. 롯데몰 송도가 완공되면 롯데몰 내부에 롯데백화점도 들어올 계획이다. 롯데몰 인근에는 '송도타임스페이스'라는 상업시설이 2020년 12월 완공됐다. 송도의 사례는 곧 국가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민간경제 활성화가 도시의 활력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증한다. 

인천 송도국제도시=김윤정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만금 #송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