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 80년대는 기술산업화로 부흥을 이루었다. 어른들은 취업준비생이나 집에서 빈둥거리는 젊은이들에게 ‘공장에 가서 기술이라도 배워라.’ 라고 일침을 놓았다. 그만큼 공장은 활기차고 생기가 있었다.
당시의 공장은 뿌리산업 중심의 규모가 있는 공장이었다. 큰 부지와 큰 기계설비, 제작 공장이 필요했고 많은 일꾼들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여건이 다르다. 소재, 부품, 장비 등으로 산업은 고도화 세분화 되었고 기술 중심 집약형 제품의 제조형태를 갖고 있다.
즉, 반도체 부품, 대기업군의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세분화되었고, 작은 공장들은 스마트 팩토리가 되어 자동화, 통합화되어 양산체계를 갖추게 되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해왔다. 이것이 바로 소부장 전용 APT형 공장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다.
1997년경 IMF로 모든 기업들이 힘들어 할 때, 전주 팔복동에 아파트형 공장이 처음 들어섰다. 지금은 지식산업센터라고 불리운다. 중소기업 진흥공단이 지방에 중소 규모의 제조업체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 파격적인 조건으로 힘을 쏟아 만든 공장형태이다. APT형 공장은 집적화된 공장의 유형으로 당시에 일반 공장에 비해 효율성 높은 공간 활용과 쾌적한 환경은 근로자에게 좋은 조건이었다.
일찍이 구로공단, 판교 등의 지식산업 센터 집중화는 생산단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종합문화공간으로 청년들이 좋아할 만한 IT 산업의 중심지로서 지역경제의 문화를 선도하는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지역 역시 지식산업센터가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지역의 지식산업센터는 구로와 판교와는 다르다. 처음부터 산업구조를 염두하고 도시 계획된 곳과 전주는 다르게 출발해야 한다.
좁은 공간의 창업형 지식센터는 일하는 청년들이 넘쳐나는 수도권에서는 계속 만들어도 모자랄 듯 하다. 그러나 우리지역에는 각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기업지원기관의 창업공간등의 스타트업을 위한 전용공간을 많이 갖추고 있다. 사무실 형태의 지식산업센터를 만든다면, 그냥 또 하나의 사무공간일 될 뿐이다.
전북에서 창업에 도전하는 창업가의 비율을 보면, 지금의 공간으로도 모자라지 않을 법하다라는 답이 나온다.
우리 지역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대부분이다. 어느 정도의 규모가 필요하고, 좋은 정주여건도 갖추어야 청년들이 선호하는 근무환경일 것이다. 이것이 우리지역의 실정과 환경에 맞게 지식산업센터를 추진해야하는 이유이다!
우리 협회에 전주 산업단지에 땅이 있냐고 묻는 전화를 가끔 받는다. 대부분 큰 규모의 주변환경이 좋은 공간을 찾는다.
어느 정도 큰 규모가 되는 미래형지식산업센터가 만들어져야 한다. 우리가 말하는 소재, 부품, 장비의 핵심전략 기술의 강소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는 규모에 비례하지 않지만, 고부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맞다.
70~80년대의 전주산업단지는 명실공히 전주의 산업혁명을 이끌었던 산업의 집합체였었다.
그때에 공돌이, 공순이라 불리우면서 주경야독하며 산업역군의 전신으로 꿈을 키웠던 젊은이들은 오늘날의 산업단지를 만든 장본인들이다. 땅이 없어 기업을 유치하지 못하는 산업단지의 현실을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먼저 고민해야할까? 라는 물음표를 던져본다!
타지역의 휘황찬란한 미래형 지식산업센터를 바라보기만 하면서, 우리라고 못할 이유가 없는 이유를 찾을 수가 없다.
우리는 숙제를 풀어야만 한다. 그리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일자리를 찾아 떠나가는 우리의 아들 딸들을 위해서라도……
/임동욱 이노비즈협회 전북지회 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