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20:06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품앗이 기부

image

농경사회에서 일손이 부족할 때 이웃끼리 서로 도움을 주고받던 우리의 ‘품앗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주고받다’라는 의미에 덧대어 ‘칭찬 품앗이’‧‘댓글 품앗이’‧‘돌봄 품앗이’ 등의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요즘에는 ‘기부 품앗이’가 화제다. 주로 인근 지역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서로 고향사랑 기부금을 주고받는 방식이다. 올부터 본격 시행된 ‘고향사랑 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저출산‧고령화 시대,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방소멸 위기 대응책으로 시행된 고향사랑 기부제는 개인이 자신의 거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지자체에 1인당 연간 500만원 한도에서 기부를 하고 세제혜택과 함께 지역 특산품을 답례로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제도 시행 초기, 전국 각 지자체들의 모금경쟁도 치열하다.

이 품앗이 기부에 가장 적극적인 사람은 고향사랑 기부제에 큰 기대를 걸어온 지방자치단체장들이다. 이들은 자매도시나 인접 도시에 기부금을 서로 전달하면서 ‘품앗이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다. 또 유명 인사들의 기부 소식을 적극 알리면서 출향인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고향사랑 기부제 활성화를 위해 솔선수범해야 할 지자체장 입장에서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자체에는 기부할 수 없으니 이웃 지자체장과 서로 주고받는 품앗이 기부가 묘책이다. 전북에서는 우범기 전주시장이 적극적이다. 그는 올들어 유희태 완주군수, 윤병태 나주시장, 권익현 부안군수, 정헌율 익산시장 등과 잇따라 기부 품앗이를 하며 고향사랑 기부제를 알렸다. 지자체장들의 품앗이 행보에 시‧군 단위 공무원단체도 동참하고 있다. 시·군 간 협력을 통해 고향사랑 기부제를 널리 알리고 함께 응원함으로써 지역 상생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자는 취지다.

당초 이 제도에 지방도시의 기대가 컸다. 지자체의 재정을 늘리고, 기부에 동참한 출향인들과의 연계를 통해 이른바 ‘관계인구’를 확보해 지역의 성장동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하지만 제도 시행 초기 전국적으로 모금실적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랜 기간 공들여 준비해온 지자체로서는 마음이 급해질 수밖에 없다. 지자체장들이 앞장선 이 같은 품앗이 기부는 제도 시행 초기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일반 시민이 기부의 주체가 되어야 제도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 그래도 처음 시행하는 제도인 만큼 지자체장과 정치인, 유명 인사 등이 앞장선다면 이 생소한 제도의 조기 정착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게 분명하다.

그런 면에서 고향사랑을 누구보다 목청껏 외쳤던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의 행보가 아쉽다. 그동안 국회의원들은 친분이 있는 동료 의원들끼리 서로 후원금을 내는 품앗이 관행이 이어져 곱지 않은 시선을 받기도 했다. 고향사랑 품앗이 기부에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해 본다. 인접 도시 시‧군의회 의원들 간의 단체 품앗이 기부도 생각해볼 일이다.

/ 김종표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향사랑 기부제 #품앗이 기부 #지자체장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