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6:20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칼럼
외부기고

전북이여, 독일의 성공과 장점을 본받아가자!

image
김대식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원장

그간 많은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가 본 나라 중 어느 나라가 제일 좋더냐?” 종합적으로 볼 때 우선 독일이 생각난다. 첫 근무지여서일까? 그보다는 배울 점이 많았던 사회였기 때문이리라.

독일 근무는 1991-94년간의 통일 직후와 그 후 2000-02년 시기였다. 그때만 해도, 독일은 통일 후 막대한 재정 소요, 사회통합의 후유증 등으로 많은 어려움과 씨름하고 있었다. 통일 33년이 된 지금, 독일은 명실공히 유럽의 중심국이다. 유럽연합 (EU) 내의 주도적 역할이 점증하고 있다.

독일의 장점은 많지만, 필자로서는 지면의 제약상 다음만을 꼽고자 한다. 먼저, 근면· 성실· 정직의 국민성을 들겠다. 둘째, 역사 반성과 사회적 소생이다. 셋째, 정치· 사회적 안정과 그 토대인 합리성과 장기적 안목이다. 넷째는 세계 최대의 제조업 국가를 일구어낸 장인정신과 체계성이다.

근면, 성실, 검소, 정직의 덕성을 지니 다른 국민도 많다. 한국인도 그중 하나일 것이다. 독일의 국민성은 그 면에서 최상 중 하나다. 그런 덕성과 물질적 풍요 및 정신적 성숙이, 원인이 결과가 되고 결과가 원인이 된 듯,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독일은 2차 세계대전 중 저지른 유대인 학살 등의 과오를 사회 전체가 철저히 반성해냈다. 개인이 그러하듯, 사회나 국가도 반성을 통해 거듭난다. 성숙과 진보를 동반한다. 독일의 반성은 교육과 사회제도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후 어려운 통일을 이루어 냈고, 이제는 27개국의 다양한 목소리가 혼재한 EU에서도 가장 강력한 지도력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사에 대한 철저한 반성 결과다.

독일 사회 전반이 안정적이다. 불안정성과 조급증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 세태에 비해, 독일은 정치적으로도 매우 안정된 나라다. 행정 수반인 총리의 연임 제한이 없어, 국민의 신뢰를 얻으면 계속 집권할 수 있다. 통일을 이룬 콜 총리와 통일 후 여러 난제를 해결하고 EU의 사령탑 역할을 했던 메르켈 총리는 각각 16년씩 통치했다. 국민들은 합리적 판단과 절제와 균형을 지닌 신념을 바탕으로 투표한다. 지도자가 선출되면, 그를 신뢰하고 힘을 모아주는 미덕을 발휘한다. 지도자도 일시적인 파퓰리즘이 아닌, 장기적인 안목에서 국정을 운영하며 정직한 리더십을 보여주려 애쓴다.

독일에는 세계적인 대기업도 있지만, 장인정신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과 그 체계적 운용도 유명하다. 독일의 중소기업은 전 세계가 시장이고 고객이다. 소위 ‘히든 챔피언’ 기업들이다. 성공 배경은 무엇보다도 최고 품질의 제품을 만들어내고, 일찍부터 국제 시장을 체계적으로 개척해왔기 때문이다. 

독일도 로마 시대에는 ’바바리아‘, 즉, 미개 지역으로 불렸다. 지금 독일은 로마제국의 후신인 이탈리아보다 여러 면에서 강하다. 인간사회는 영고성쇠의 과정을 거친다. 진전과 후퇴는 모두 그 시대의 사람들의 자세와 노력에 달려 있다는 것을 역사는 보여준다.

전북은 민선 8기 도 정부의 혁신과 성장의 기치 아래, 희망과 도약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이미 여러 성과도 있다. 새로워지고있는 것이다. ‘전북이 가는 길’의 최종 결실을 위해 각계는 더욱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오늘의 독일 성취의 밑바탕이 된 장점들을 되새겨보길 주문한다. 현재를 되돌아보고 거듭나는 자성의 태도, 합리적 사고와 체계적 준비 자세,최고를 만들어가는 전문성, 상호신뢰와 장기적인 호흡, 국제적 안목과 접근과 같은 미덕이 아름답지 않은가.

/김대식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식 #전북칼럼 #전북국제협력진흥원 #독일의 성공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