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 맞이 치킨 최대 4천원 할인’, ‘황금올리브치킨 23,500원’, ‘후라이드반양념반 21,000원’.......
아침에 눈을 떠 핸드폰을 켜니 카카오톡 선물하기 채널에서 광고메세지가 와있다. 중복이구나. 반사적으로 미간이 찌푸려진다. 초복이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중복이라니. 하루 동안 또 얼마나 많은 생명들이 혓바닥의 쾌락을 위해 죽을까.
한국에서 2022년 한 해 동안 도살된 동물은 1,104,494,340명(命)이다. 한국 인구의 21배이다. 11억 명의 사람들이 죽었다고 한다면 온 세상이 발칵 뒤집어 졌을텐데 동물이란 이유로 그렇지 못하다.
소는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메테인을 내뿜는 죄로 메탄을 없애는 마스크를 평생 동안 쓰게 되었고, 인간들은 어떻게든 소를 먹겠다는 일념 하에 수상축산농장을 지었다, 병균과 피로 얼룩진 그들의 삶과 달리 음식점 간판에 그려진 소는 우리를 향해 방긋방긋 웃고 있다. 퍽 기괴한 모습이다.
나는 비건지향이다. 4년 전, 유튜브의 알 수 없는 알고리즘에 의해 암소의 질에 인간의 팔뚝을 집어넣어 수소에게서 채취한 정액을 삽입하고 있는 영상을 보았다. 일종의 강간이었다. 좁은 스툴에 갇힌 암소는 어찌할 도리 없이 당하고만 있었다. 정지된 생각의 회로가 다시 작동할 때쯤 나는 숨 가쁘게 고기가 사육당하고, 도축당하며, 조각조각 나뉘어 팔리는 과정을 찾았고 그 날로 비건을 선언했다.
단백질 신화에 빠진 사회는 끊임없이 내게 묻는다. 단백질 없이 과연 건강할 수 있겠냐고.
모든 동물은 기본적으로 식물에서 단백질을 얻는다. 식물에서 얻은 단백질을 섭취한 동물을 잡아먹는 한 단계를 생략한 것뿐이다. 그러나 이 한 단계를 ‘빠트린’ 비건은 예민한 약골로 치부되곤 한다.
삼겹살집에선 상추를, 치킨집에서는 무를 씹어 먹으며 회식자리를 견디고 있노라면 왜 안 먹냐고 친절히 고기를 앞에 놓아준다. 고기를 안 먹는다 말하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들었다는 듯 코웃음치는 사람과 그렇게 먹으면 병에 걸려서 큰일 난다며 딴에는 진심어린 걱정을 해주기도 한다.
너 비건이야? 어디까지 먹어? 닭알(달걀)은? 절대 안 먹는거야? 만약 고기가 환경파괴를 안 시킨다면 그 땐 고기 먹을거야? 만약 세상에 먹을 게 아무것도 없고 고기만 있다면? 나는 고기 먹을건데? 우리 아버지 축산업 하시는데 그럼 나쁜 사람이야?
친절한 말투를 가장한, 그러나 무례한 질문 세례를 받는 날이면 그 날 밤 어김없이 칼에 찔리는 꿈을 꾼다. 욱신거리는 통증에 깨어나면 침대가 흠뻑 젖어있다. 나에겐 깨면 그만인 꿈이지만 그것이 수많은 동물들이 직접 겪는 마지막 순간이다.
언제 어디서나 먹고 싶은 것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은 큰 축복이자 당연한 권리이다. 비건에게 메뉴를 보지 않고 음식점에 들어가거나 설명을 덧붙이지 않고 주문할 수 있는 음식들이 거의 없다. 기후위기로 채소는 고기보다 비싸질 지경이다. 손재주가 없는 편이라 굶기 일쑤였고, 답답한 마음에 지역에서 ‘무해한 아울 식탁’이라는 비건 요리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여 사람들과 한 끼를 비건으로 만들어 먹고 있다.
당신이 이 글을 읽고 불편했다면 당연하고 올바른 현상이라고 말해두고 싶다. 불편함은 언제나 무언가를 바꿀 새로운 계기가 되곤 하니깐.
곧 있으면 말복(末伏)이 다가온다. 팥죽, 들깨 수제비, 채개장....... 고기 권하는 사회에서 우리에겐 몸을 보신할 여러 선택지들이 있다. 이슬아 작가의 말을 인용하며 마무리한다.
‘더 이상 죽인 힘으로 살고 싶지 않다. 살린 힘으로 살고 싶다.’
/모아름드리 환경단체 프리데코 대표
△모아름드리 대표는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ESD 위원, 전북여성문화예술인연대 운영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