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트 남성 20,000원 / 여성 23,000원'
"원장님, 왜 여자 커트가 더 비싸나요?"
"아, 보통 여자 손님들 머리를 감겨드리거나 고데기를 해드리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거든요. 아무래도 샴푸 양도 더 많이 들고요. 모발 길이의 차이죠."
끄덕끄덕. 머리 길이의 차이 때문이라던 대답에 수긍하던 나는 얼마 지나지 않아 머리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었다. 짧은 투블럭이던 나에게 여자 요금을 청구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여성 손님의 커트 비용이 비싼 이유는 그만큼 시간과 제품이 많이 들어서이고, 보통 남성보다 머리 길이가 길기 때문인데 남성의 머리 길이와 같은 경우에도 여성의 요금을 부과한다.
결국 기준은 ‘머리 길이’가 아니라 ‘성별’인가. 생각이 여기까지 미치자 요금 기준에 대해 다시 물었다. 그러자 짧은 머리여도 여성은 남성보다 많이 스타일링을 해야 해서 그렇다고 했다.
여성은 더 예뻐야 하고 더 꾸며야 한다. 나는 스타일링에 관심이 없다. 싼 가격으로 서비스를 받고 싶은 것도 아니다. 단지 일관적인 기준과 논리적인 근거에 설득 당하고 납득 당하길 바랐다. 머리 길이가 아니라 성별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는 곳은 의외로 많다. 핑크 택스(Pink tax)가 부과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곳을 찾기 위해 검색을 하면 핑크 택스 없는 미용실 지도가 나오기는 하지만 서울⸳경기 수도권 중심이라 지역에서는 미용실 한 곳 한 곳을 직접 찾아보는 수밖에 없다.
내가 지금 말하는 문제는 원장님 개인만의 문제 또는 미용 한 분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핑크택스는 꾸밈노동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데, 여성들에게 꾸밈노동을 부추기는 것은 이 구조와 사회이다. 여성들은 일상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얼마나 기능을 다하며 편하고 안전한지가 아닌 ‘아름다움’, ‘치장’과 같은 사회가 제시하는 성차별적 기준에 맞춰진다.
예컨대 속옷이 그렇다. 삼각팬티가 불편하여 여성 트렁크를 검색한다. 기능이 같고 원단도 조금 들어갔는데 남성 트렁크보다 배로 비싸다. 추가되는 거라면 바지 입을 때 걸리적거리게 하는 ‘예쁜’ 리본 정도. 동생은 할 수 없이 남성용 트렁크를 사 입는다. 같은 기능의 면도기라면 ‘여성용’이라는 단어가 붙는 순간 가격이 높아진다. 스킨로션, 데오드란트, 화장품이 역시 성차별적 비용이 부과된다. 여성들은 꾸밈 노동을 위해 화장품을 사야한다. 지금껏 산 화장품 가격을 다 합치면 얼마더라? 여성들은 사회가 내건 기준에 맞춰 성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내가 지금 꿈을 꾸고 있는 건가. 우리에겐 여성성을 강요받지 않고 정당한 비용을 지불할 합리적인 선택지가 없다. 핑크 택스와 꾸밈노동 시장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작동하며 아주 오랫동안 견고히 유지되어 왔다. 그 안에서 여성은 죽을 때까지 관리하고 꾸며야하는 존재가 된다.
그래서 '도시'에 사는 '비장애인' '인간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으로 태어난 게 억울하다. 여자라서 가지는 (것처럼 보이는) 장점은 오히려 여성의 발목을 잡고 차별을 심화시킨다. 우리는 여성을 선택하지 않았다. 성별이 선택가능하다면 차라리 남성을 택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여성으로서 살아갈 앞으로의 길을 바꾸는 것이다. 과거 많은 사람들의 투쟁이 모여 현재를 만들었듯 어차피 세상에 던져진 존재라면 미래를 향해 던져지고 싶다. 먼지 같은 차별들을 인식하고, 깨어 있으려 부단히 노력하고 싶다.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다고 발화할 수 있는 용기와 불편함이 불편함으로 인식될 수 있는 논리, 그리고 함께 나누고 해쳐갈 동료. 우리에겐 그것이 필요하다.
/ 모아름드리 환경단체 프리데코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