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7:24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고령화 사회의 농업 농촌

image
유남영 정읍농협조합장

요즈음 “농촌시골 경로당 80대가 막내”라는 기사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전남의 22개 시군의 이·통장 연령대 현황”이라는 지난 5월의 신문기사를 보면, 60대 이상이 71%, 70대 이상이 24%, 80대 이상도 119명이 마을 이·통장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필자가 근무하는 정읍농협의 농업인조합원 70대 이상 연령대 비율은 42%다. 이처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 농촌이 소멸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은 현실이 될지도 모르겠다,

2022년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소멸위기에 직면한 지역이 59개 시군에 이른다고 한다.

일본에서 2040년이 되면 기초지자체의 50%가 사라질 것이라고 했던 ‘마츠다리포트’가 바다 건너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에게도 발등의 불이 되었다. 특히, 농촌은 더더욱 심각하다. 농촌의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얼마 지나지 않아 농촌과 농업이 고사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국민의 생명 창고로써 농업의 미래를 암울하게 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책대안을 마련하고 실행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농협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농협 자체적으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먼저, 농촌 현장에서 시급한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다양한 농기계 보급으로 노동력이 많이 감축되었지만 소농 위주 농업특성과 소규모 밭작물 재배는 여전히 기계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 농번기에 집중되는 인력수요는 인력부족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농협에서는 농번기 일손돕기 캠페인과 함께 지역단위로 인력중개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외국인공공형계절근로제도를 도입하는 등 노력하고 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촌인력부족 문제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농협중앙회 본부에 독립된 농촌인력중앙관리센터를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의 외국인 노동자의 선발, 공급, 관리를 체계적으로 대행할 수 있는 조직 신설이 필요하다. 잉여 도시인력과 연계하고 농번기에는 체류형 영농작업반을 중앙단위에서 컨트롤하고 종합관리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농작업 대행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 추진하여야 한다. 농작물의 입식부터 관리, 수확 그리고 판매까지 농협이 전 작업과정을 일괄 대행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와 기계화를 통해 부족한 노동력을 해결하여야 한다. 농작업 대행은 판매까지 대행함으로써 산지유통 조직화에도 기여하여 판매사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대행수수료를 통해 농협의 수익원을 다양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농업인 고령화 시대에 맞게 노인 장기요양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농협에서는 이미 장제사업, 순회의료봉사, 소외계층 주거개선 등 많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몇 농협에서는 재가노인복지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농업인이 심리적 안정 속에서 삶의 터전인 지역 농촌에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선진국형 케어팜(치매노인, 장애인 돌봄농장)이나 치유농업, 농협요양원 등 농촌복지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지방의 인구감소가 빠르게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농업도 무너질 수 있다. 지역소멸은 농업 위기를 더욱 해결하기 어렵게 할 것이다. 농협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유남영 정읍농협조합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읍농협 #유남영 조합장 #고령화 사회의 농업농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