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21:3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자체기사

['지방소멸' 줄어드는 전북 사람들] 전북특자도 출범, 지방소멸 출구 될까

새 출발 앞둔 전북, 지방소멸 출구 찾을까
우려와 기대 '공존'..."종합적 대책 마련 중요"

image
전북도청 전경/사진=전북일보 DB

2024년 '특별자치도'라는 이름으로 새 출발을 앞둔 전북이 가장 먼저 지방소멸의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와 동시에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공존하고 있다.

2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북지역 평균 연령은 2019년부터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2019년 12월 기준 평균 연령은 44.9세, 2020년 12월은 45.6세, 2021년 12월은 46.2세, 2022년 12월은 46.8세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연령(42.6세∼44.2세)에 비해 2세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동시에 전북지역 청년인구는 지난 20년 간 20만 명이 떠났다. 열악한 산업구조와 고용 문제가 심각한 탓에 다수의 청년이 고향을 떠나고 있다. 

전북은 타지역에 비해 저출산 고령화와 청년인구 감소 등 인구 절벽 위기로 인해 지방소멸 위험이 높다. 일찍이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대책을 강구해 왔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은 마련하지 못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문제는 현재 추진 중인 일자리, 출산율 제고, 인프라 조성 등과 관련된 정책은 대부분 다른 지자체에서도 공통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방소멸은 자치단체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국가적 과제이지만 그렇다고 지방이 손을 놓고 있을 수도 없는 문제다.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북만의 특색 있는 차별화된 정책으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동안 광주·전남과 함께 호남권역으로 묶여 권역별 정부 지원사업에서 후순위로 밀렸던 전북이 독자적인 권역을 갖게 되는 만큼 기대가 큰 상황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지난해 발표한 현장 리포트 '전북, 소멸위험지역 진입 원인·대응'을 통해 "지방소멸 위험은 전북뿐만 아니라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로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 노력이 긴요해 보인다"면서도 "현재 시행 중인 각종 정책의 실효성 점검과 함께 지역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다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방소멸 #전북특별자치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