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백년도서’를 선정하자

image
최기우극작가

매년 수많은 책이 출간되고, 그만큼의 책이 버려진다. 힘겹게 모았을 연구자의 책장과 장서가의 창고도 맥없이 사라지고, 도서관에서 폐기하는 책도 상당하다. 책이 쉽게 없어지는 세상. 전라북도와 14개 시·군이 다음 세대에 전해야 할 책은 어떻게 지켜야 할까. 

영구 보존 도서에 관한 생각은 2007년부터 ‘전라북도 작고 문학인 추념 행사’를 치르며 더 뚜렷해졌다. 이 행사는 높은 지명도보다 전북 문학사에 윤기를 더하며 자존을 세운 문학인들을 대상으로 연 소박한 세미나다. 초기에는 연구자들을 설득해 발제를 맡긴 후 학술지 발표를 유도했다. 이를 통해 작고 문학인의 삶과 작품 연구가 확산하기를 바랐다. 

몇 년 전부터 틀을 바꿨다. 모든 작품을 후배 문학인이 나눠 읽은 뒤 언론매체에 서평을 발표하고, 함께 모여 감상을 이야기했다. 후배들은 선배들의 작품을 읽고 일상의 아름다움과 고운 인연을 느꼈으며, 느슨하면서도 끈질기고, 깐깐하면서도 찰진 선배들의 글쓰기를 통해 삶과 글이 진실했던 문학인의 참모습을 만났다. 

그러나 이 사업에는 큰 걸림돌이 있었다. 문학인들이 쓴 책들의 행방이다. 서점과 헌책방, 인터넷 서점, 원로 문학인의 서재, 학교·지역 도서관 등 어디에서도 개별 문학인의 작품집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는 없었다. 기댈 곳은 출신지와 거주지의 도서관. 전북 1세대 수필가인 목경희(1927∼2015)·김순영(1937∼2019)의 수필집·서간집 열세 권은 전주의 도서관 곳곳에 있었다. 

아쉬움도 남는다. 전주시립도서관에는 ‘전북의 살아있는 역사’라 불리던 작촌 조병희(1910∼2002)의 『완산고을의 맥박』이 없다. 역사적 사건과 인물, 유적 등을 찾아다니며 그것의 의의와 가치를 조명한 향토사학자의 노고가 담긴 책이다. 부안군립도서관에는 신석정(1907∼1974), 정읍시립도서관에는 정렬(1932~1994), 익산시립도서관에는 이광웅(1940∼1992) 시인이 생전에 낸 시집이 없다. 전라북도교육청 진안도서관에는 백운면 출신 문정희(1961∼2013)의 유고 시집이,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에는 1956년부터 20년 동안 대학에 근무하며 전북연극의 초석을 다진 박동화(1911∼1978)의 유고 희곡집이 없다. 1987년 6월항쟁부터 전주의 민주화운동을 서사시로 형상화한 최형(1928∼2015)의 『다시 푸른 겨울』은 시인의 출생지인 김제와 말년을 보낸 익산의 도서관에는 있지만, 정작 시집의 배경지인 전주의 도서관에는 없다. 

이 책들이 처음부터 없지는 않았을 터. 세월에 바래고, 찾는 이가 없으니 자연스레 폐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수년 동안 아무도 찾지 않는다고 그 책의 가치가 사라지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지자체의 도서관은 도·시·군과 인연이 깊은 책을 뚝심 있게 간직해야 한다. 이 땅에 대한 지극한 애정으로 역사와 문화, 풍경과 감성, 언어를 오롯이 담은 책, 삶터의 자존을 올곧게 세운 책. 후손에게 물려줘야 마땅한, ‘백년도서’를 선정하고 알리고 보존하는 것은 도서관의 분명한 사명이다. 백 년 전 선조들이 후손을 위해 작정하고 남겨준 책이 많이 있었다면 우리 역사는 조금 더 당차고 꼿꼿해졌을 것이다. 

아! 책 선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조건은 저작권자의 무조건적인 협조다. 작가와 작품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다양한 활동 속에서 공공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무소불위의 권력만 휘두르려는 안하무인도 왕왕 있기 때문이다. 

/최기우 극작가

 

△최기우 작가는 다수의 희곡집과 인문서를 냈으며, 전북일보사 기자와 전주대학교 겸임교수, ㈔문화연구창 대표, 전북작가회의 부회장, 한국문학관협회 이사, 최명희문학관 관장 등으로 활동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연말 정국 혼란⋯"전북 예산 감액 우려"

국회·정당자치단체 에너지분권 경쟁 '과열'⋯전북도 움직임 '미미'

정치일반전북-강원, 상생협력 강화…“특별자치도 성공 함께 만든다”

정치일반새만금, 아시아 관광·MICE 중심지로 도약한다

자치·의회전북특별자치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북자치도 및 도교육청 예산안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