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9:2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자체기사

[미래 방위산업, 전북이 이끈다] 전북 방위산업 현주소는

방위사업청 지정 도내 방산 기업 4개, 연구기관 7개 등
전국 비해 아직 열악한 상황, 도내 방산업계 매출액도 저조
지난 4월 새만금에 방산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도 무산
전북은 지금부터 시작, 타 시도와 협력해 시너지 효과 등 강구

image
지난해 3월 31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K-방산, 안보 전략 및 산업화 포럼'

'선진 강군의 육성과 국가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한다. 제도와 능력을 확충하고 투명성·전문성 및 효율성을 증진해 자주국방 태세를 구축하고 경제성장 잠재력을 확충한다.' 방위사업법 제1조와 제2조에 명시돼 있는 방위사업의 목적과 기본이념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전북은 방위산업에 도전장을 냈다. 탄소, 수소에 이어 지난해 이차전지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방위산업이다. 그러나 전북은 아직 '불모지', '걸음마 단계' 수준이다. 도민들에게도 방위산업은 낯설고 생소하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많은 변화도 찾아오고 있다. 본보는 전북의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전북의 현주소와 타 시도 현황, 과제 등을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전북의 방위산업은 지난 2022년 12월 산업부의 '우주항공·방산 시대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로 가시화됐다. 도가 2006년도부터 집중 육성해온 탄소섬유와 관련, 탄소 산업의 확장성을 방산과 접목하겠다는데서 비롯됐다.

본보 취재 결과 방위사업청 지정 도내 방위산업체는 다산기공(주), (주)데크카본, (주)동양정공, LS엠트론 등 4개 기업이다. 전국(83개소)의 4.8%를 차지한다.

방위산업 관련 기업은 효성첨단소재, ANH스트럭처, 데카머티리얼, KGF 전주공장, 디쏠, 하이즈복합재산업(주) 등 총 6개 사에 그친다.

전북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은 기동화력, 유도전자, 항공·함정, 전투·물자 등 총 50개 사다. 전국 10개 지역 국방벤처센터 가운데 최하위권에 속해있다.

도내 방위산업 관련 연구기관은 캠틱종합기술원을 포함해 7곳, 지원사업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2018년 방위산업 실태조사 결과 2015년 전북지역 방산업계 매출액은 463억 원, 2016년 465억 원, 2017년에는 425억 원으로 조사됐다. 전국 16개 시도(제주 제외) 가운데 강원, 전남, 세종, 충북의 뒤를 이어 하위 5번째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지난해 4월 새만금개발청과 새만금에 방산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첨단기술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새만금 국가산단에 우주발사체 조립 시설과 방산 관련 기업과 학교, 기관 등을 연계해 조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새만금개발청이 이차전지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MOU가 무산됐다는 전언이다.

전북의 방위산업은 지금부터다. 전북도는 전북이 잘하는 영역을 선점해 타 시도와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낼 방안을 구상 중이다.

김희수 전북도의원이 발의한 '전라북도 방위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돼 도비 17억 원 가량을 확보했다.

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전라북도 방산연구회는 지난해 7월부터 운영 중이다. 지난해 850억 원 규모의 6개 국가 R&D 과제를 발굴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국가사업 추진에 나선다.

도는 '전북형 신 방위산업'을 육성하고자 방위산업 전담팀을 신설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지정한 국방특화연구센터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전북 소재 대학들은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전북대는 올해 방위산업 융합전공, 내년에는 학부 최초 방위산업학과를 신설할 계획이다.

군산대는 전북형 방산클러스터 구축에 앞장서고, 우주발사체 구조체 신뢰성 평가기술 개발 공모 등에 대응한다. 전주대는 국방무인기연구소를 설립해 무기체계 포럼 등을 개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방위산업 #전북 #과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