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21:29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欲速不達(욕속부달), 신중함이 성공을 만든다

image
성도경 (가칭) 완주∙전주 상생발전네트워크 이사장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계기로 완주군과 전주시 행정구역 통합 문제가 다시금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를 올해 6월 안에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잰걸음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일정에 대해서는 다소 성급하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모두 아는 것처럼 완주와 전주의 통합은 오래된 얘기다. 지역 통합을 위한 시도도 3차례 있었다. 하지만 실패였다. 완주지역 주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 탓이다. 최근 두 지역 통합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지만, 완주지역의 분위기를 보면 과거와 크게 달라진 것 같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서둘렀다가는 자칫 두 지역 통합에 대한 남은 불씨마저 완전히 사그라트리는 게 아닐까 하는 우려마저 든다.

냉정하게 생각하면 차기 지방단체장 선거 무렵이 마지노선이라고 할 때 충분한 시간이 있다는 생각이다.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완주군민의 마음을 얻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합의 주체는 완주가 되어야 하며, 완주주민의 목소리가 우선시 되어야한다. 서로가 존중하는 태도로 접근한다면, 완주지역 주민들의 불안 역시 다소 가라앉을 것이다.

통합의 결과 완주 주민들이 경험하게 될 각종 긍‧부정적 영향도 제대로 분석하여 솔직하게 공개해야 한다. ‘지역 통합’이 단순하게 주소만 바뀌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완주군민의 삶에 부정적 요소가 발생한다면,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장‧단기적인 시각으로 보상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것만으로도 충분치 않다면, 두 지역의 통합으로 만들어 나갈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을 통해, 완주 주민들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을지 까지도 고민해야 한다. 전주의 전통과 역사, 완주의 산업과 저력이 결합한다면, 통합시의 도시 브랜드 제고와 함께 기업 유치는 보다 용이해지고, 지역의 경쟁력 또한 강화될 것이며, 우리의 삶 또한 좀 더 편리하고 풍족해 질 것이다.

그렇다면 완주와 전주가 동일한 입장에서 통합을 논의하는 방법, 그리고 통합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이 가능해질지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행히 우리에게는 창원특례시와 충북 청주시라는 선례가 있다. 지난 2010년 마산‧진해‧창원시가 통합한 이후, 창원은 100만이라는 인구를 기반으로 특례시로 지정되어 광역시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고 경남의 중심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정치적 차원에서 진행된 통합 논의였기에 세 지역은 지금도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못하고, 재분리를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고 한다.

반면 청주시는 통합 이후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방소멸의 흐름 속에서도, 2014년 통합 후 10년 동안 인구가 3.9% 증가했다. 철도클러스터와 바이오특화단지 등을 유치하며, 국가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통합의 과정이 양 지역의 정치권이 아닌 주민을 중심으로 수행되었기에 가능했다. 청주시 역시 청원과의 통합에 3차례 실패했고, 4번째 도전을 앞둔 때에는 청원군이 시(市)로의 승격을 추진하기도 하는 등 현재의 완주와 전주의 상황과 비슷했다. 하지만 두 지역에서는 상생과 화합을 위한 수많은 노력과 설득이 이어졌고, 통합 후의 미래에 대한 비젼에 동의하면서 마침내 통합이 성사되었다는 사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완주와 전주의 통합은 전북특별자치도의 거대한 변화를 이끄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을 마지막 기회라고 여기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欲速不達(욕속부달)이라는 <논어>의 구절을 깊게 새길 필요가 있다.

/성도경 (가칭) 완주∙전주 상생발전네트워크 이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도경 #욕속부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