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대에 쌓인 책들을 보면 어릴 적 서점이나 도서 매대를 지나던 기분을 떠올린다. 장난감 매대를 서성이면 곧장 불려 가야 했지만, 도서 매대는 조금 달랐다. 엄마는 급한 일이 없다면 책을 구경하고 열어보는 나를 자주 기다려줬다. 때로는 나를 책장 사이에 두고 장을 마저 보러 가기도 했다. 그렇게 고른 책을 들고 가면 10권 중 1권 정도는 구매를 허락받았는데, 주로 학습과 관련된 만화 서적이었다.
만화책만 보면 발이 묶여 코를 빠뜨리던 시절을 지나, 근래 책방에서 나의 발목을 잡는 마법의 단어는 ‘지역’이다. 책 자체가 지역성을 다루고 있어도 좋고, 전라북도나 전주를 다루고 있으면 끝내 걸음을 멈추고 목차를 떠들러 보게 된다. 고향에서 벗어나고 싶어 서울로 갔다가 다시 돌아온 청년에게 지역성은 언제나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은 나만의 최애 주제인 셈이다. 그렇게 불현듯 이끌려 집어 든 책을 품에 끌어안고 집으로 돌아와 단숨에 읽었다. 제목탓인지 만화책을 들고 집에 들어오던 두근거림을 느낀 것도 같다. 만화 연구자 김은혜의 『칸과 홈의 세계로 바라본 전북』이다.
이 책은 전라북도의 곳곳을 배경으로 하거나 모티브로 하는 6개의 만화 리뷰가 중심이 된다. 군산을 배경으로 성 착취 역사를 풀어낸 불친의 『해망굴 도깨비』, 부안 출신의 비전향 장기수 허영철 선생을 다룬 박건웅의 『나는 공산주의자다』, 임실, 부안, 김제, 서울, 만주를 넘나들며 4대에 걸친 가족사를 담은 정용연의 『정가네 소사』, 정읍의 유소년 축구단의 실화를 담은 윤태호의 『리더스 유나이티드』, 전주의 막걸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이종규·김용회의 『대작』, 전주의 마지막 권번 기생이자 화가였던 남전 허산옥의 생애를 담은 조원행의 『권번기생 비밀의 기억』 리뷰와 동시대 작품을 통해 지역을 읽으려 시도한 seri·비완의 『그녀의 심청』 리뷰까지 총 7편의 글이 실려있다. 책의 말미에는 전라북도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작가 5인의 인터뷰가 함께 실렸다.
각각의 만화가 가진 지역성과 서사를 면밀하게 설명하면서도 저마다 작품들이 가진 아쉬움에 대해서도 꼼꼼하고 냉철하게 지적하고 있다. 해당 작품들을 어떤 경로를 통해 볼 수 있는지도 함께 설명하고 있어 소개한 만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전라북도를 배경으로 한 만화를 목록화 한 것에 반가움을 느끼고 나면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인터뷰가 이어진다. 동시대 창작자들의 이야기까지 읽고 나면 서문에 등장한 필자의 마음에 십분 공감하게 된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전북 지역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살펴보는 것은 전북을 그린 만화 작품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목록화하여 이들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다. 전북에 거주하고 있는 작가를 찾아 인터뷰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이다. 이들의 ‘존재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기록하여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다.” (『칸과 홈의 세계로 바라본 전북』 中)
오래 내리던 비가 그쳤다. 날이 풀리고 도서관에 나들이 가기 좋은 때가 되었다. 돌아오는 3월에는 작가가 내보인 목소리의 기록을 찾아 책장 사이로 나들이를 떠나보면 어떨까.
최아현 소설가는
2018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소설 <아침대화>로 등단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