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덕 '혁신도시 이전기관 금융권 거래 현황'
지방은행협의회 "지역 상생 방안 마련" 요구도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외면이 심각한 수준이다.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 12곳 가운데 전북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하는 기관이 단 한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6일 윤영덕 더불어민주연합 의원(광주 동구남구갑)실에서 받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금융권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12곳 가운데 전북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이용한 곳은 단 한곳도 없었다.
주거래은행은 고사하고 2·3순위 거래은행에도 전북은행은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는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중 한곳도 전북은행에 자금을 맡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실제로 한국국토정보공사와 농촌진흥청(소속기관 4곳 포함), 한국농수산대학,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의 주거래은행은 농협은행이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국민은행,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식품연구원은 우리은행과 거래했다.
타 지역 상황도 크게 다르진 않다. 전국 혁신도시 공공기관 110곳 중 지방은행을 1순위 거래은행으로 둔 곳은 단 4곳이다. 영화진흥위원회와 게임물관리위원회가 부산은행을, 한국사학진흥재단과 중앙병역판정검사소가 대구은행을 이용했다. 나머지는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 농협은행 등과 거래했다.
그나마 부산, 대구혁신도시 공공기관 일부는 2순위 거래은행으로 부산은행과 대구은행을 이용하며 자금을 예치했다.
이처럼 지역균형발전을 기치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지방은행 이용에 소극적인 것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와 같다. 공공기관에 따라 최대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금융 거래에 지방은행이 철저히 소외되며 또 다른 '수도권 블랙홀' 현상을 부추기기 때문이다.
금융은 '산업의 핏줄'로 비유된다. 금융 거래에 있어 시중은행이 대동맥이라면 지방은행은 실핏줄과 같다. 특히 지방은행은 지역 자금이 역외 유출되는 것을 막고, 자금이 해당 지역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지방은행의 혁신도시 공공기관 주거래은행화'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지방은행들은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지방은행 간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을 금융당국에 요청한 상태다.
지난 3월 19일 열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지방지주회장‧은행장 간담회 자리에서도 지방은행들은 "지역에 예치된 자금이 역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저리로 지원되는 지역 선순환 구조를 위해 지방 이전 공공기관과 지방은행 간 거래 활성화가 필요하다"며 지자체 등 금고 선정 시 은행의 지역 재투자 평가 결과를 적극 반영해 줄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자체‧지방은행과 협의체를 구성해 시·도 금고 선정 시 과당 경쟁을 방지하고, 지방은행이 지역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