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바쁜 일상 속 이동의 편리를 위해 다양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특히 ‘버스’는 일정한 시간대로 움직이는 규칙성과 택시나 지하철보다 저렴한 이용금에 따라 높은 접근성을 지닌다. 그리고 사회 속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인권이 발달함에 따라 버스의 형태도 계단이 많은 일반 버스(2단 이상) 형태에서 차고의 단차가 낮은 ‘준저상 및 저상’버스가 현행되고 있다. 이는 노인, 아동, 임신부, 장애인, 목발 이용자 등의 교통약자와 일반고객의 접근성에도 편리를 제공한다. 특히 입출구에 단차를 없앤 저상버스(초저상버스)의 경우는 휠체어나 유아차가 들어갈 수 있도록 슬로프 장치과 좌석을 마련하여 배리어프리(barrier-free)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장치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사회적으로 안도감을 가지게 하는 것일지 그 가치를 아는 사람은 그 감동을 알 것이다.
그럼에도 안타까운 것은 저상버스의 목적만큼 아직은 우리의 현실에서 다양한 교통약자들이 충분히 배리어프리의 장치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교통약자’라는 표현으로 우리는 얼마나 다양한 대상을 떠올릴 수 있을까? 노인, 아동, 임신부, 휠체어, 유아차, 목발 이용자, 등 다양한 대상이 있지만 아마 가장 많이 떠오르는 대상은 ‘노약자’이지 않을까? 버스를 타면 가장 먼저 보이는 좌석도 ‘노약자’ 우대 좌석이며, 대중교통의 이용 시 배려를 배울 때에도 “어르신들께는 자리를 양보해야 해”를 먼저 배운 세대들에게는 더더욱 교통약자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을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교통약자를 고려하고 배려하는 대중교통의 문화에서 아직도 이용대상에 제한적인 이미지를 준다는 것이 단순히 고정된 인식에서만 비롯된 것일까? 일상 속에서 스쳐지나간 우리의 기억을 더듬어보자.
우리가 버스를 이용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1. 자주 이용하는 정류장에서 휠체어 및 유아차 이용객이 기다릴 수 있는 배려공간이 있나?
2. 도로나 인도에 휠체어 및 유아차 이용객이 정류장에 접근할 수 있는 주변 경사로가 있나?
3. 버스를 타고 내리는 휠체어 및 유아차 이용객을 위해 슬로프와 좌석 안전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은 일주일에 몇 번 정도 봤지?
4. 교통약자 스티커에 어떤 픽토그램이 표시되어 있지?
5. 교통약자 좌석이 좁거나 턱이 올라와 있지는 않나?
이 의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풍부한 기억을 되살릴 수 있을까. 매일 일상에서 다양한 사회구성원들과 함께 살아간다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다양한 교통약자를 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주하기란 쉽지 않다. 몇 주 전, 집으로 향하는 시내버스 안에서 교통약자 스티커가 눈에 들어왔다. 노약자, 임신부, 휠체어 및 목발 등을 사용하는 모습이 담긴 스티커였다. ‘이 자리는 필요로 하시는 분께 양보해 주십시오.’라는 문구와 좌석을 바라보는데 ‘모순’이라는 단어가 머리를 가득 채웠다. 좌석은 손잡이 봉에 가려서 진입로가 너무나 협소했으며, 엔진으로 인해 바닥은 높게 올라와 있었다. 스티커에 담긴 그 어떤 대상도 편리해 보이지 않는 좌석이었다. 물론 모든 버스가 그렇진 않겠지만,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편의에 대한 기준과 배려가 더 이상 왜곡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제는 모두를 위한 환경과 사회적 가치가 그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서 대상에 대한 인식에서만 멈추지 않고 실질적이며 진실되게 실천해야 하지않을까.
/윤해아 (사)사회적 협동조합 해시담 이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