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정책협의회의 재개를 통해 전북, 광주, 전남 3개 시도가 상생 협력의 새 장을 열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호남권 정책협의회는 2004년 12월 15일 광주에서 처음 출범했다. 당시 강현욱 전북지사, 박광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가 첫발을 내딛고 호남권의 균형 있는 발전과 교류·협력을 약속했다.
그러나 2017년 3월 29일 전남에서 개최된 제11회 회의를 마지막으로 활동이 중단됐다. 당초 시도별 순회 형식으로 연 2회 개최를 목표로 했으나, 지자체장들의 일정 조율 등의 문제로 불규칙적으로 운영되나 유명무실해졌다.
협의회는 광주(2004년·2006년·2015년·2016년)와 전남(2005년·2008년2015년·2017년)에서 각 4회씩 열렸다. 전북에서는 3회(2005년 8월 제3회, 2014년 10월 제6회, 2016년 6월 제9회) 개최됐다.
이에 따라 제12회 협의회는 전북에서 열릴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앞서 강기정 광주시장도 지난 5일 김관영 전북지사와 김영록 전남지사와의 협의회 개최를 시사한 바 있다.
'호남권 정책협의회'는 단순한 모임을 넘어 경제·사회·문화·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3개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예측된다. 호남권이 직면한 주요 현안들에 대해 중앙정부와 협력 채널 구축도 전망된다.
각 지역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협력 사업 발굴 및 추진도 예상된다.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을 통해 지방 자치 역량 강화와 분권 촉진 효과도 기대된다.
이번 정책협의회는 최근 대구·경북 통합논의, 충청지방정부연합 등 광역자치단체 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호남권의 초광역 전략에 대한 논의 필요성이 대두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호남권 국회의원 숫자는 총 28명(전북·전남 10명, 광주 8명)으로, 경기도 60명이나 서울 48명에 비해 현저히 적은 실정이다. 이에 호남권 공동협력을 통해 현안 해결을 위한 동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 공동의 정서를 기반으로 한 호남권은 상대적으로 협력이 용이하고, 다양한 호남권 기관이 광역별로 산재해 있어 지역발전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상호 간 협력의 필요성이 높다는 평가다.
다만, 지역사회에서는 호남권 내부의 이해관계 상충 문제는 해결 과제로 지적된다. 특별자치도로 독자 권역 추구와 광주·전남과의 초광역 협력 문제의 조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입장 차이도 존재한다. 이를 두고 새만금을 호남권 공동의 국가 아젠다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나아가 전북은 전남과 농업 분야에서 상생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광주의 미래 첨단 산업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