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6:24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건·의료
자체기사

응급실 현장-병원 이송시간 증가...”전북 응급의료체계 ‘암울’

이송거리 줄었는데도 이송시간 증가, 병원 찾는 시간 는 것으로 분석
전북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올해 1065건 돌파, 지난해 전체 건수 넘겨

image
병원에 붙은 응급실 진료 지연 안내문 (성남=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병원 곳곳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5일 경기도 성남시 한 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응급실 진료 지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4.9.5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국회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료파업 이후 전북지역 응급의료체계 상황이 '암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과 병원간 이송시간이 늘어났고 ‘응급실 뺑뺑이’ 등으로 인해 환자 이송거리 또한 증가하는가 하면, 전북을 비롯한 전라권에서 전원병원을 찾지 못한 건수가 전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기 때문이다.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채현일 의원(서울 영등포구갑)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현장-병원 간 이송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 파업이 시작된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전북지역에서 이송된 4만 1694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환자 이송시간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전북지역에서 전체 환자 중 현장-병원 간 5분 이내에 이송된 환자의 비율은 4451명(10%)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이송된 환자 4만 4702명 중 5분 이내 이송된 환자 6090명(13%)에 비해 감소한 수치다.

반면, 60분 이상 이송이 소요된 건수는 올해 1161건(2.7%)로 지난해 863건(1.9%)에 비해 전체 이송건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환자 이송 골든타임에 해당하는 10분 이내 이송 건수도 올해 1만 650건(25%)으로 나타났는데, 의료파업이 없던 지난해 1만 1925건(26%)의 비율에 비해 줄어들었다.

특히, 전북지역은 이송거리가 지난해보다 감소했는데도 이송시간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병원을 찾기 위해 도로위에서 소요된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북지역에서 2km 미만으로 이송된 환자의 수는 총 5532건(12%)이었는데 올해 5943건(14%)으로 짧은 거리의 이송이 되레 늘어났다.

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광역응급의료상황실 통한 전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7월말까지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통해서도 끝내 전원 병원을 찾지 못한 경우가 전국적으로 47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북지역이 포함된 광주전라지역에서 발생한 경우는 총 61건으로 전체의 10%에 달했다.

지난해 광주전라지역에서 전원 병원을 미선정한 경우는 6건에 불과했는데, 올해는 10배 이상 증가한 수다.

또 올해 1월~9월 6일 기준 전북지역 응급실에서 '진료과목에 따라 환자를 받지 못한다'는 메시지를 광역응급의료상황실에 보낸 건수는 총 1065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1036건을 이미 넘겼다.

박 의원은 “응급실을 제때 찾지 못한 환자들의 안타까운 사연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며 “빠져나간 전공의의 역할을 온전히 채울 수 없어 배후 진료의 어려움이 가속화되고 있다. 응급실 문을 열어두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치료를 받을 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급실 #응급의료체계 #응급실 뺑뺑이 #전북 응급의료체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