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행정구역 통합 방안을 논의할 전주시민협의회가 출범했다. 전주시는 5일 시민협의회 위원 51명에 대한 위촉식을 갖고 완주군민협의회가 제안한 상생발전 방안 검토에 들어갔다. 이에 앞서 완주·전주 행정구역 통합 찬성측으로 구성된 완주군민협의회는 지난해 10월 전주시에 12개 분야 107개 사업의 상생발전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탄핵정국과 맞물린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 아직 주민투표 날짜가 확정되진 않았다. 하지만 주민투표를 향한 시계는 빠르게 흐르고 있다. 당초 5월로 예정됐으나 두세달 정도 늦어질 전망이다. 어쨌든 전북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완주·전주 통합이 눈앞에 다가왔다. 전북자치도와 전주시는 물론 찬반단체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번 통합의 열쇠는 전주시가 완주군에 얼마나 많은 양보를 하느냐에 달려 있다.
완주·전주 통합은 1997년 이래 세 번 좌절되었다. 그 사이에 전북은 계속 쪼그라 들었다. 인구가 대폭 줄고 경제력도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제 여유가 없다. 막다른 골목이다. 역사와 생활권이 같고 소멸 위기에 처한 전북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도 완주·전주 통합은 필수적이다. 해마다 1만 명 가까운 청년들이 학업과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탈출하고 있는 현실을 보라. 이대로 가다간 전북자치도 자체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완주·전주 통합을 통해 통합시가 앵커도시로 거듭나야 전북의 살 길이 보인다.
문제는 통합이 완주군민에게 이익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마음의 문을 열게 아닌가. 전주시민협의회는 완주군민협의회가 제안한 상생발전 방안 심의를 다음 달까지 끝낼 예정이라고 한다. 주요 내용은 통합시 명칭·청사 3개, 지방의회 운영 3개, 민간사회단체 지원 7개, 지역개발사업 32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진흥 14개, 주민복지 향상 14개, 현행 읍면 체제·기능 유지 6개 등이다. 이들 사업과 함께 정치적으로 민감한 초대 통합시장과 시의회 의장을 완주군 출신으로 보장하는 문제도 심도있게 논의했으면 한다. 완주군이 100을 원하면 200을 줄 생각을 하라. 이와 관련, 완주군을 지역구로 가진 국회 안호영 의원의 전진적 행보도 촉구하고자 한다. 전북자치도와 전주시가 진정으로 통합을 바란다면 완주지역 통합반대단체를 포함한 군민의 눈높이에서 통합을 바라보기 바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