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금요칼럼] 보이지 않는 것은 없다 - 이용우

우리는 사람의 마음이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상대방의 마음도 읽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마음은 반드시 보인다. 마음속으로 결심하지 않고 행동에 옮기는 일이 있는가. 그러니 하는 짓을 보면 당연히 마음이 보이는 것이다.

 

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밝은 전등을 통하여 전기의 존재는 보인다. 바람은 보이지 않지만 나무 잎이 흔들리는 것을 보아 바람의 존재를 안다. 사랑은 보이지 않지만 사랑하는 자를 통하여 사랑을 느끼고, 그리움은 보이지 않지만 그 것이 얼마나 뼈 속 깊이 파고드는 고통스러운 것인가를 우리 모두가 안다.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들 사이에는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 현미경이 발명되기 전까지 인간은 미생물의 존재를 몰랐으며, 박테리아도 몰랐다. 그러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없다고 말하던 인간의 태도는 상당한 수정을 요구받게 되었고, 그러한 편견은 무지에서 온다는 사실도 인정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물론 과학의 공이 크다. 반대로 과학의 재앙도 엄청난 것처럼.

 

신, 또는 절대자의 존재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아직도 존재영역이 과학이 아니라 철학적 논쟁에 속한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다고 믿지 않았던 것들에 대한 인간의 모순이 속속 드러나면서 신의 존재조차도 단언키 어려워졌다. 그 동안 사람들은 신상(神像)을 대형화하고 숭배하면서 종교적 교의를 키워왔다. 부처의 크기가 상상을 초월 할 만큼 커지는가 하면 십자가의 크기도 하늘을 찌른다. 이슬람이나 힌두교 사원의 크기, 교회의 크기, 사찰의 크기는 각 종교의 위력을 상징하는 것처럼 되어 간다. 그러나 그것은 엄밀하게 말해 종교라기보다는 각 종파들이 벌이는 키 재기이다. 종교와 종파의 차이는 엄청나다.

 

종교라는 religion은 re+ligion 으로 "다시 연결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뭔가 끊어지고 상실한 것으로부터 다시 연결하고 되찾아서 돌아간다는 의미를 갖는다. 우리가 상실한 것이 무엇 이길래 다시 연결해야 하는 것일까? 한자로 종(宗)은 갓머리 변에 보여줄 시(示)가 합한 말이다. 즉 머리를 보여주는 것이다. 으뜸이나 우두머리를 보여주는 것이 종교라면 아마도 절대존재나 절대가치 등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을 가르쳐 다시 연결시키는 목적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 주변의 종교들은 신의, 부처의, 기타 절대존재의 궁극을 보여주려 노력도 하지만 외형적으로 양적 팽창에 주력해온 것도 사실이다. 목적과 가치, 방법론이 섞여 있는 것이다.

 

사람들이 사는 주거양식이나 사무실, 기념비적 건축물 등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건축물들은 좋은 것, 부족한 것, 나쁜 것 등이 마구 섞여 있다. 쓸모 없거나 아름답지 못한 건축물들은 사람들의 눈에 난 뒤 하나 둘 씩 철거된다. 좋은 건축물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고 역사 속에 고스란히 보존된다. 그러므로 건축물을 보존하는 것은 엄밀하게 말해서 사람이 아니라 역사인 것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의 예술작품은 우리가 보존하고 복원하는 것처럼 인식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그들의 위대한 예술성이 스스로를 복원하고 보존하게 한다. 그러므로 생은 질에 대한 판단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과의 차이에서 무와 유를 결정지어왔다. 그러나 무란 없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란 사실이 더 맞을 것이다. 처음부터 무가 존재하였다면 유와 무는 영원한 이원론적 개념이 될 것이다. 마치 선과 악이 영원히 평행선을 긋는 이원론적 존재이기 때문에 세상은, 인간은 선과 악의 치유불가능의 갈등 속에 영원히 존재한다는 전제와 같은 것과 같다.

 

지금까지 철학과 과학은 영원한 평행선을 그려왔으며, 하나는 이념으나 방법론으로, 다른 하나는 실증학문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철학적 논증과 과학적 실증을 거치지 않은 진리가 존재하는가?

 

인류의 달 탐험은 철학적 논리와 과학적 실증이 만들어 낸 위대한 가치이다. 상상력과 가설이 입증되려면 과학적 방법론이 동원되듯 우리들의 삶도 생각을 실천시킬 몸이 필요한 것이다. 예술은 이러한 두 원인과 결과적 등가물이다. 위대한 예술, 예술가일수록 철학과 과학 사이를 유연하게 넘나드는 능력을 지닌 자들이다. 우리시대의 진정한 성상은 이 두 가지의 유연한 결합에 있다. 그것이 진정한 종교이자 예술일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체험학습 다녀오던 전주 초등학생들, 버스 화재로 대피…인명피해 없어

무주무주반딧불농특산물, 베트남서 러브콜 쇄도

완주"완주군 주민 주도 관광활성 통했다"

김제김제 폐양조장 로컬재생 프로젝트 '눈길'

법원·검찰담배 피우다 불을 내 이웃주민 숨지게 한 60대 '금고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