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굴지의 유제품 회사들이 납품업체로부터 관행적으로 ‘뒷돈’을 받아온 사실이 드러났다. 검찰은 납품업체로부터 뒷돈을 받거나 중간에서 이득을 가로채 수 십 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A유업 전 임원 K씨를 재판에 넘겼다. K씨는 하청업체에 납품액의 3%를 수수료로 내게 한 뒤 이를 유령 직원 명의의 계좌로 빼돌려 48억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를 갑질 논란으로 떠들썩하게 했던 유제품 업체에 대한 기사다. 이 기사에서 유제품 회사를 ‘전북버스운송사업조합’, 하청업체를 ‘교통카드 유지보수 업체 J사’로 바꾸면 최근 지역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전북버스조합 뒷돈 사건’과 너무나 닮아 있다.
버스조합과 J사의 관계는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사이로 시작됐다. J사는 원청사인 M사로부터 유지보수비를 올려 받는 대신 일정액을 버스조합에 건넸다.
이 관계는 상당기간 지속됐지만 영원하지는 않았다. ‘좋았던 매부(J사)’가 최근 ‘누이(버스조합)’의 치부를 폭로하면서다. 이에 버스조합 관계자는 돈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 “조합의 이익을 위해 썼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이런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줘서 발생한 문제가 한 가지라도 있느냐”고 반문했다. ‘피해자도 없는 데 문제 삼아 우리는 억울하다’는 논리다.
과연 그럴까. 우선, 좋았던 매부가 누이에게 갑질을 당했다며 피해자임을 자처하고 나섰다. 또 J사에 유지보수비용을 인상해 준 M사도 영업이익에서 손해를 본 피해자다. 이와 함께 각종 비용 등을 줄여 조합의 수익이 증대되면 그만큼 자치단체가 주민들의 세금으로 지급하는 보조금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봤을 때 도민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버스조합의 편협한 ‘자기 방어 논리’는 이에 그치지 않았다. 조합 관계자들의 제주도 여행에서 M사 관계자에게 식사를 제공받은 것에 대해서도 “찾아와서 인사도 하고 술도 한 잔 사줄 수 있지, 이게 사회윤리 상 문제가 되느냐”고 항변했다. 이 논리대로라면 사회윤리상 ‘을’은 ‘갑’의 영원한 횡포에 당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라는 씁쓸한 생각이 머리를 맴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