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영화·영상산업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도와 전주시가 '따로국밥' 양상을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양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과 새로운 육성 전략 수립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 요구된다.
6일 전북도와 전주시 등에 따르면 문체부의 영화산업 지역별 업종별 사업체 수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전북의 영화제작, 지원 및 유통업 사업체 수는 123개로 나타났다. 서울(3915개), 경기(1409개), 부산(243개), 인천(181개)에 뒤를 이은 전국 5위다.
이는 전주국제영화제, 전주영상위원회, 영화제작소 등 전북이 영화·영상 분야에서 전국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지역임을 방증한다. 영화의 기획‧개발단계부터 사전제작, 촬영, 후반작업까지 원스톱 제작 지원 시스템 등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전북 콘텐츠 전략에서 영화·영상 육성 전략은 미비한 수준으로 영화제작소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은 예산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주영상위원회의 예산 규모는 도 출연기관의 사업 하나 수준에 그친다.
실제 2024년도 콘진원 예산은 101억 8305만 원으로, 2019년(324억 3945만 원)부터 매년 줄다가 결국 3분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영상위의 올해 예산은 18억 217만 원으로, 지난 3년간 대비 도비가 5000만 원이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전북의 영화·영상산업 분야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도와 시가 머리는 맞대는 육성 전략 재수립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먼저 전주영상위 및 영화제작소와 콘진원을 결합하고 이들의 역할 분담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영상위가 콘진원에 편입되는 방안이 고려된다.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문체부는 지난해 11월 영상콘텐츠산업 규모를 2027년까지 40조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1조 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 조성, 세제 지원, 인프라 확충 등을 골자로 한 영상산업 육성방안도 내놓은 바 있다.
도내 대학을 중심으로 콘텐츠 관련 인재들이 육성되고 있는 만큼 도와 시가 이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터전을 제공하고, 산업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강조된다.
최근 영화 촬영을 AI와 접목하는 등 앞으로 세트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 만큼 선도적인 AI 활용 방안 마련도 제안된다.
일각에서는 현재 구체적인 청사진이 나오고 있진 않지만 종합스튜디오와 영화촬영소, K팝 국제학교 등 새만금에 영화·영상산업을 집중하려는 점에서는 반대의 의견도 있다. 문화는 생활 속에 가까이 있어야 하고, 새만금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낮다는 관점에서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전북콘진원, 전주국제영화제, 영상위원회, 영화제작소 등이 다 따로 놀고 있는 모습이고, 그동안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는가에 대해 의문"이라며 "영화산업은 연평균 매출액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OTT 및 국내 영화 영상 콘텐츠 흥행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강점을 가진 전북의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