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4명 중 3명가량이 정부에서 인터넷 안전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국제거버넌스혁신연구소(CIGI)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와 공동으로 실시해 25일(현지시간) 발표한 '인터넷 안전과 신뢰' 설문조사에서 한국인 응답자의 73%가 이같이 응답했다.
정부가 인터넷 안전을 '어느 정도' 지키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42%였고, '전혀' 지키지 못한다는 응답자도 31%였다.
조사 대상 24개국 중 '정부에서 인터넷 안전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했다'는 응답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일본(75%)이었고, 한국은 두 번째로 많았다.
한국 방송통신위원회에 접수된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피해자 수는 올해에만 2천만명에 달했다.
지난달 발생한 영상공유사이트 해킹으로 11만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을 비롯해 한국에서는 국내외 해커들의 공격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빈발해왔다.
또 지난해에는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으로 금융회사와 언론사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
자국 정부에서 인터넷 안전을 확립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일본과 한국 다음으로 높았던 나라로는 이탈리아(69%), 멕시코(68%), 독일(67%), 폴란드(64%), 남아프리카공화국(64%) 등이 있었다.
최근 해킹 피해가 잇따랐던 미국에서 이런 의견을 보인 사람은 55%였던데 비해,인도(29%)나 중국(36%)에서는 인터넷 안전과 관련해 자국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비교적 높았다.
정부나 민간 기업에서 인터넷 활동을 감시할 것이라는 한국인들의 우려도 높았다.
CIGI와 입소스의 이번 설문조사에서 '자국 경찰이나 다른 정부기관이 몰래 인터넷 활동을 감시할 가능성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한국인의 29%가 '매우 그렇다', 43%가 '어느 정도 그렇다'고 답했다.
조사 대상 국가 중 이 질문에 '매우' 혹은 '어느 정도' 그렇다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던 곳은 멕시코(84%)였고 터키(77%), 인도(76%), 홍콩(74%), 한국(72%) 순이었다.
또 '민간기업이 영리목적으로 동의 없이 인터넷 활동을 열람할 가능성'에 대해 한국 응답자의 37%가 '매우 우려한다', 43%가 '어느 정도 우려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7일부터 지난 12일 사이에 한국인 1천 명 등 세계 24개국 2만3천37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국가별로 ±3.5%포인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