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펜 한자루에 청춘을 담고-2

image
박성민 작가

인천 영종도는 11월 중순이면 눈이 흩날리고 12월엔 바다가 얼어붙었다. 공항 화물터미널에서 보내는 겨울은 따스한 남쪽 사람인 나에겐 혹독하기만 했다. 공항 활주로를 쉼 없이 오고 가는 지게차들 속에서 두툼하게 방한복을 껴입고 일해야 하는 길고 시린 겨울은 내 몸과 마음을 더욱 지치게 했다. 남초 회사에서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다는 엄청난 결함에다가 지연, 학연, 무엇하나 공통점이 없었던 나는 동료들과도 친분을 쌓기 힘들었고, 아웃사이더로 찍혀있었다. 

작업을 위해 오가는 활주로에 소복이 쌓인 눈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자면 학창시절 별다른 고민 없이 숨 쉬듯, 밥 먹듯 당연하게 해왔던 것, ‘그리고 싶다’라는 맹목적인 욕구가 솟구쳤다. 

며칠 밤낮을 고민했을까? 결국 나는 영종도의 활주로를 뒤로하고 친구와 가족들이 있는 고향 전주로 내려왔다.  

인천공항에서의 숱한 내 고민과 자괴감이 무색하게, 이룬 것 하나 없이 빈손으로 돌아온 백수 아들의 등을 힘껏 안아주시는 부모님의 품은 그 무엇보다 큰 위로이자 힘이 되어주었다. 그리고 봄이 오고 있었다.

돌아온 고향 전주에서 나는 한동안 멍 때리듯 그림을 그렸다. 

전주의 멋진 건물들, 명소, 어릴적부터 좋아했던 장소들을 그리고, 또 그렸다. 오랜만의 ‘그리다’라는 행위는 나를 무아지경에 빠지게 할 만큼 행복하게 했다. 그림을 완성할 때마다 페이스북에 일기 쓰듯 올렸고, 친구들과 지인들이 그런 나를 따스하면서도 단단하게 응원해주었다. ‘그림을 그리며 살아야겠다’는 나의 결심은 갈수록 확고해져갔다.

그때 즈음일까? 무심하게 지나쳤던 고향의 작은 한옥마을은 ‘가장 한국다운 도시 전주’의 대표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전주는 예능프로그램의 핫플레이스였고 누적 관광객이 천만 명이 넘었다는 뉴스도 단골 보도가 되었다. 고등학생 시절 미술학원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 길, 호기심에 찬 눈으로 여기저기 기웃대던 풍남동, 교동, 오래된 골목길을 미디어를 통해 새롭게 만나는 기분은 묘하기만 했다. 한옥마을 붐은 개발로 이어졌다. 비포장도로와 쓰러질 것 같이 낡은 판잣집들이 멋들어진 보도블럭과 반짝이는 새 기와를 얹은 한옥으로 탈바꿈했다. ‘맛의 고장’이라고 널리 알려진 전주의 이미지에 맞춰 ‘한옥마을 먹방’도 대박 행진이었다. 곧 한옥마을의 메인거리에는 전국 팔도의 먹거리를 판매하는 상점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반면, 관광기념품은 제자리걸음이었다. 심지어는 서울 인사동에서 판매하는 기념품들을 전주에서 만날 수 있을 정도였다. 

 ‘이거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주여행을 기념할 수 있는 전주한옥마을 엽서를 만들어야겠다!’. 나는 그동안 꾸준히 그렸던 그림들을 살펴 전주한옥마을의 12곳을 골랐다. ‘전주한옥마을 전경, 경기전, 풍남문, 전동성당, 전주향교 대성전, 전주향교 명륜당, 오목대 전망대, 전주동헌, 전주풍패지관, 전주사고, 남천교, 한벽당’. 계절마다 다른 색과 향으로 가득한 매력적인 열두 곳을 매일, 매주 돌아보며 연구하고 그려냈다. 그리고 1년간 인천공항에서 눈물 콧물로 모은 돈을 다 털어 엽서를 제작한 것이다. 엽서 한 장 한 장 투명봉투에 담아 정성스럽게 스티커 작업까지 끝낸 나는 떨림과 기대로 부푼 마음을 안고 한옥마을 인근에서 열리는 프리마켓에 입점 등록을 했다. 화창한 하늘과 따스한 햇살 가득 희망에 찬 날이었다.

박성민 작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우범기 전주시장 "청년이 전주의 미래"

정치일반尹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국회 봉쇄·의원 체포 지시 쟁점”

스포츠일반전북특별자치도청 컬링팀 세계팀랭킹 20위 기록

군산"죽어가는 폐상가에 생동감 불어넣다"…군산구도심상권활성화사업 성과공유회

김제김제시, 용지면 악취 배출원 조사 및 맞춤형 대책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