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자체는 한결같이 문화예술과 지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한 ‘문화의 고장, 관광의 고장’을 내세웠다.
그러나 민선 2기를 맞는 각 지자체의 문화관련 사업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인 투자보다는 외형 불리기나 일시적인 기대효과를 노리는 단발성 행사에 그치는 사례도 여전하다.
도내 지방자치단체의 전체 예산 가운데 문화관련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의 비율은 1%에서 6%에 이르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문화관련예산과 관광산업예산이 구분이 모호한 상태로 수치상으로만 ‘문화예산 비율=지자체의 문화관련 성적표’로 이해되는 점에는 무리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문화예산은 지자체의 의지와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도내 지자체의 문화관련 사업의 예산투입을 들여다보면 사실 곱게만은 볼 수 없다.
단순히 외형적 기반시설이 문화인프라로 인식되는 상황이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적 투자보다는 단순히 외형불리기식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만해도 올해 문화관련 사업 가운데에는 ‘자랑스런 전북인동산 조성사업’, ‘지역문화예술공간 확충’, ‘전북미술관 건립’‘소리문화의 전당 건립’등 건설공사 등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8억규모의 예산에서 올해 19억원으로 두배가 넘는 문화관련예산을 확보한 고창군의 경우도 판소리박물관 건립, 고창고인돌 공원조성사업 등에 대규모의 자금이 투입된다. 임실군의 사선대조각공원 조성사업이나 정읍의 우동농악전수관 건립, 부안의 반계선생 유적지 정비 사업 등 지자체별로 대부분 문화관련예산 중 ‘뭉칫돈’이 대형 공사비로 대부분 투입되고 있는 형편이다.
올해 전체 예산 가운데 6.06%를 문화관련사업에 투입해 전년대비 2.26% 증가한 전주시의 경우는 이런 점에서 주목받을 만하다. 4개 시립예술단을 상임체제로 운영하면서 한해 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올해는 문화예술인들의 직접적인 창작활동을 돕는 창작지원사업 을 도내 지자체로는 처음 시작해 ‘한발 앞선 시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화계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투자보다는 임기내에 외형적인 성과만을 달성하려는 단체장의 잘못된 문화마인드가 자칫 속을 채우지 못하고 절름발이 지역문화를 만들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