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가 출범한지 25일로 두돌을 맞는다. 지난 2년간 참여정부는 국정의 틀을 바꾸는데 주력했다. 정부혁신과 시스템에 의한 통치 부문에 개혁드라이브를 걸었고 권력기관의 탈 권위화가 진행됐다. 한마디로 탈권위주의,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반부패 및 참여정치가 진행된 시기로 평가할 수 있겠다. 반면 개혁강박증과 이념과잉으로 국론분열과 국력낭비만 초래됐다는 비판도 있고, 그래서 ‘지난 2년은 잃어버린 2년’이 되고 말았다는 혹평도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우 지난 2년간은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시책 에 맞춰 정치력과 행정력을 집중했고 새로 바뀐 패러다임에 맞춰 지역발전 밑그림을 그린 기간이었다.
전북은 어떠한가. 도정이나 시.군정의 틀이 혁신되고 탈 권위화됐는가, 아니면 독선과 선심행정이 더욱 공고화되었는가. 우리 지역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지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대외에 강하게 전파된 2년이 아니었나 싶다. 새만금 환경 논란이 일면서 삼보일배로 이어졌고, 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이젠 소송이 진행중이다. 새만금이 한숨 돌릴 즈음엔 방폐장이 불거졌다. 극심한 찬반 논란 속에 지역이 갈등과 분열, 반목의 대결장이 돼 버렸다. 이 두 국책사업은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고 전북 밖에서는 ‘못사는 지역이 왜 찌그락 짜그락 하느냐’ ‘왜 혐오시설만 전북에 내려보내느냐’ 등등 이해관계에 따라 왕왕거렸다.
그러는 사이 지난 2년간 전북은 ‘맨날 시끄럽게 싸우는 지역’ ‘쓰레기나 유치하려는 지역’ ‘주어진 밥도 못 찾아 먹는 지역’등 부정적 이미지가 굳어진 점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역의 부정적 이미지는 기업유치, 역외자금의 투자유인, 공공기관 이전, 관광객 유입 등 여러 면에서 마이너스 효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두 국책사업에 행정력을 올인시키다 보니 개혁이라든지 지방분권 같은 업무 등이 소홀히 다뤄질 수 밖에 없는 건 필연일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지방행정이 개혁은 커녕 소극적이고 안일한 자세로 대응하고 있다”고 줄곧 비판해 왔다. 공무원 조직은 개혁마인드로 무장돼 있지도 않다. 다른 자치단체들이 ‘J프로젝트’ 같은 거창한 비전을 제시하면서 에너지를 한데 모아나가는 사이 전북은 갈등과 혼란으로 에너지를 낭비했고 새 패러다임에 맞는 지역발전 비전도 제시하지 못했다. 지역총생산(GRDP)은 최하위, 인구는 계속 내리막세를 걷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니 ‘전북의 지난 2년은 잃어버린 2년’이란 혹평이 나올 법도 하다.
이런 현황과 이미지가 어떤 브랜드가치로 나타날지를 생각하면 끔찍하다. 지금은 브랜드 경영시대다. 브랜드 경영이란 고객의 머릿속에 남은 특정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경험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 제품의 이미지를 파는 것이다. 지금과 같은 전북이미지로는 승산이 없다. 전북이 자치단체간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어떤 브랜드, 어떤 이미지를 창출해야 할 것인지가 앞으로의 과제다.
이를테면 ‘공장을 할려면 전북에 가라’‘행정서비스는 전북에서 벤치마킹하라’‘사회복지 인프라가 가장 잘된 지역은 전북’ 등등 특장분야에서 넘버 원의 이미지가 창출될 수 있도록 청사진을 설계하고 정치력과 행정력을 올인시키는 일일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