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출신 창암(蒼巖) 이삼만(1770~1847)은 명문가에서 태어났지만 무척 가난했다. 약초를 캐러다니던 부친이 독사에 물려 죽자 집안은 더욱 곤궁해졌다. 그는 가업을 이어 약초를 캐러 다니면서 나뭇가지와 지팡이로 글씨를 썼다. 종이나 붓을 살 형편이 못 됐기 때문이지만, 그것이 독창적인 창암체 개발의 연유가 된 것은 아닐까.
추사 김정희 출현 이전 명필로 꼽히는 서예가 원교 이광사(1705∼1777)와 창암 이삼만의 예술혼을 흠모해온 최준호 전라남도옥과미술관 관장이 「원교와 창암 글씨에 미치다」(한얼미디어)를 펴냈다.
우리 서예사에서 추사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두 명필. 원교가 남긴 서첩을 입수해 평생 완상한 창암은 만년에 이르러 서첩 뒷면에 자신의 글씨를 남겼다. 병풍형 서첩은 가로 31.3㎝, 세로 42.6㎝, 두께 3㎝로, 앞면에 원교 글씨가 1면부터 30면까지 112자가 씌어졌고, 창암은 원교의 글씨 뒷면에 한지를 덧대 110자를 남겼다.
40년간 이 서첩을 소장해 온 한국화가 조방원이 유묵첩을 영인하고 최관장이 탈초(초서를 정사로 바꾸는 것)와 해제를 맡았다. 최관장은 두 사람의 삶이 녹아든 서첩에 대해 “자획이 건강하고 훌륭하며 기상이 웅장하고 빼어난 원교의 글씨, 붓놀림이 신묘해 몸둘 바를 모를 정도인 창암의 글씨가 마치 대화하는 것처럼, 물 흐르듯 서첩을 채우고 있다”고 평한다.
「원교와 창암 글씨에 미치다」를 통해 불우한 삶을 이겨내고 독창적인 서예술을 꽃피운 두 명필을 만날 수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