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자치단체중 인구가 가장 많이 줄어들고 있는 지역. 지역총생산량(GRDP)이 16개 광역자치단체중 뒤에서 두 번째인 지역. 진정 투서 무고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전북을 상징하는 부정적 현상이다.
내세울 게 많은데도 하필이면 연초부터 부정적인 것만 골라 나열하느냐고 물을 수도 있겠다. 그에 대한 답은 두가지다. 하나는 우리지역이 잘살고 사회적 자본도 다른 어느 지역보다 튼실해졌으면 하는 생각에서고, 다른 하나는 우리 지역이 왜 이렇게 됐는지, 그동안 지역의 리더들은 무엇을 했고 향후 리더들은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등에 접근하기 위해서다.
본사가 신년호 제작을 위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라북도 발전방향과 정치선거에 관한 여론조사’는 이에 대한 하나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전라북도가 낙후된 원인을 물었더니 ‘중앙정부의 차별 때문’(34.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분권과 균형발전을 기치로 내건 참여정부에서도 이같은 결과가 나오는 건 아이러니다. 노무현 대통령에게 91.6%의 지지율을 보낸 전북이 참여정부에서 차별받는다면 뭔가 잘못돼도 크게 잘못된 것이다. 정치권이 답을 해야 할 사안이다.
‘전북발전의 비전과 전략이 없기 때문’(31.7%) ‘지방시대에 맞는 훌륭한 인재와 지도자가 없기 때문’(20.4%)이라는 응답이 뒤를 잇고 있다. 비전과 전략, 인재가 없기 때문이란 지적은 우리지역의 내발적 원인인데, 무엇을 비전으로 제시할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훗날 전북의 풍요로운 자산이 될 가치를 어디에서 찾아야할지 이 지역의 리더들이 처방을 내놓고 실천의지를 밝혀야 한다.
인재양성 역시 해묵은 과제중의 하나다. 참여정부 들어 인재층이 크게 엷어졌다. 씨가 말라가고 있다는 비판도 드세다. 차라리 영남정권이 기승을 부릴 때 전북의 인재들이 더 많았다고 토로하는 이들이 많다. 이런 결과에 대해서는 엄청난 지지율로 당선된 정치인들이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전남 광주처럼 과감하게 당겨주고 밀어주는 풍토가 아쉽다는 비판을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낙후원인에 대한 도민들의 의견을 어렴풋이나마 헤아렸지만 전북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돼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의 문제 역시 궁금한 사안이다. 이에대해 도민들은 ‘서해안시대에 맞는 신산업 육성’(42.8%)을 으뜸으로 꼽았고 ‘첨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개편’(33.5%) 등을 비중있게 적시했다. 이제부터는 부가가치가 높은 신산업에 눈을 돌리고 산업구조 역시 첨단산업 중심으로 개편돼야 한다는 요구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지역의 리더들은 과연 이런 방향성에 맞춰 혁신적인 선택을 해왔다고 자신할 수 있는가. 표를 의식하거나 이해관계에 따라 적당히 관행적으로 행정행위를 하고 정치를 해 오지는 않았는지 살필 일이다.
지역 발전 여부는 정치인이나 단체장들의 비중이 크다. 전북을 이끄는 리더이자 주민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을 설계하고 예산을 집행하는 이들이 그들이기 때문이다. 낙후의 고리를 깰 새 패러다임, 과거답습이 아닌 미래 수요에 대응할 참신한 비전을 제시할 리더를 보고 싶다. 자치단체장 15명과 지방의원 197명을 뽑는 5.31지방선거도 이런 관점에서 눈여겨 볼 일이다.
/이경재(전북일보 편집국장)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