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은 영조4년(1728), 김천택(金天澤)이 엮은 가집(歌集)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이칭이요, ‘영언’은 노래를 일컬음이다. 노랫말이 흩어져 없어질 것을 걱정한 김천택의 투철한 국학의식(國學意識)에서 편찬된 우리말 가집이다.
「청구영언」에는 8종의 이본이 있다. 그 중, ‘김천택의 원고본으로 믿어서 좋을 만한 것’은 1948년 「조선진서간행회」에서 활자본으로 낸 「청구영언」이다. 500부 한정판이었다. 나는 이 중 ‘제165호’를 보배롭게 간직하고 있다.
이 책에는 580수의 노래(歌曲·時調·歌辭)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3편을 추스려 본다.
① 재 너머 성권농(成勸農) 집에 술 익단 말 어제 듣고/누운 소 발로 박차 언치 놓아 지즐타고/아희야 네 권농 계시냐 정좌수(鄭座首) 왔다 일러라 (鄭澈)
② 동짓달 기나긴 밤 한허리를 버혀 내여/춘풍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어론님 오신날 밤이어드란 구비구비 펴리라 (黃眞伊)
③ 노래 삼긴 사람 시름도 하도 할사/일러 다 못 일러 불러나 푸돗던가/불러서 풀릴 것이면 나도 불러 보리라 (申欽)
이것은 어디까지나 나의 취향에 의한 것이다. 580수 노래의 작자는 ‘유명인으로부터 이름없는 시골의 부녀자에까지’ 이르러 있다. 그 읊조린 바 내용도 다양하다. 가히 우리 선인들의 지(知)·정(情)·의(意)가 담겨있는 가집이요, 시집이라 말하여 좋을 것이다.
그 어느 경우이든, 앙앙불락(怏怏不樂)하지 않은 선인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다. 우리 겨레는 한(恨)도 풍류로 다스렸다. 「청구영언」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