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문화재단 이대로는 안된다(상) - 폐쇄적인 조직문화…새로운 틀 필요하다

공무원 출신 이사·사무국장 영입 자생력 한계...문화정책 발굴·지역 문화예술인들 소통‘과제’

▲ 전주문화재단 개청식
“전북문화재단의 출범은 전주문화재단 활성화에서 찾자.”

 

“전북문화재단이 설립 돼 전주문화재단을 잘 이끌어달라.”

 

최근 전북문화재단 출범 유보를 둘러싼 논란에서 때아닌 전주문화재단의 역할론(?)이 제기됐다. 두 단체가 규모나 역할이 서로 달라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전주문화재단의 성패가 전북문화재단 출범에 있어 가늠자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지난 6년간 논란에 부딪쳐온 전주문화재단과 관련한 쟁점은 관변 단체 논란, 역할 재정립, 폐쇄성 등으로 요약된다. 올해 전주문화재단이 공무원 출신인 상임이사와 사무국장을 영입하고 3대 문화관(소리·부채·완판본 문화관)과 설예원의 민간위탁을 맡는 등 보폭을 넓혀가고 있지만, 지역 문화계는 아직도 회의적인 시선이 지배적이다.

 

△ 관변 단체다, 아니다(?)

 

지역 문화계가 줄기차게 주장해왔던 것 중에 하나가 사무국장에 민간인 전문가를 앉히는 것이었다. 시는 그간 2년 남짓 공무원을 파견해 문화재단을 ‘관리’하는 주체로 전락시켰을 뿐,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조직 개편·인력 채용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다.

 

시는 7개월 가까이 “마땅한 인물이 없다”면서 사무국장 선임을 미뤘다. 하지만 시가 비교적 문화에 밝은 공무원을 상임이사에 임명한 뒤 도의회 정책사무관 출신의 연구원을 사무국장으로 선임해 지역 문화계로부터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만 채용하는 게 아니냐는 비난을 샀다.

 

지역 문화계는 상임이사와 사무국장의 역할론을 주문하면서 “이들이 시의 단위사업만 가져올 게 아니라, 행정과의 교감을 토대로 전주 문화 지형도 안에서 문화정책을 수립하는 통로가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정체성 드러낼 적극적인 사업 마련돼야

 

전주시는 몇 년째 전주문화재단 예산 편성에 소극적이다. 시에 따르면 2006년 15억(출연금 8억7000만원), 2007년 11억(출연금 7억6000만원), 2008년 7억8000만원(출연금 5억8000만원), 2009년 12억(출연금 9억8000만원), 2010년 10억8000만원(출연금 7억8000만원), 2011년 19억(출연금 8억)이다. 올해 3대 문화관 운영, 천년전주명품‘온’브랜드 육성 등 신규 위탁사업을 제외하면 재단의 순수 사업비는 2억5000만원에 불과하다. 이를 두고 전주시가 ‘한국문화의 중심’을 위해 차별화된 문화정책 수립을 외치면서도 예산 확보에는 소극적인 ‘엇박자 행정’은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주문화재단의 정책 목표는 문화예술 정책의 구심점, 시민문화예술 향유 확대, 지역 문화예술 교류 증진,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 지역문화예술의 활성화 등으로 비교적 잘 설정돼 있는 반면 지역문화에 관한 구체적인 전략은 여전히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팎의 비난에 부딪친 전주문화재단이 적극적으로 사업을 발굴하기 보다는 전주시가 위탁한 일부 사업을 가져오거나 기존에 해온 행사를 추진해온 데 기인한다.

 

특히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된 ‘2011 뮤직 파크 인 전주’는 전주문화재단이 왜 맡아야 했는지 납득이 안간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시민문화예술동호회를 주축으로 전주 내 유휴공간에서 선보인 공연으로 문화의집, 사회적기업 등이 충분히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것. 오히려 전주문화재단이 시민들의 문화예술권 확대나 문화예술교육을 골자로 한 중·장기적인 문화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전주문화재단이 올해 민간위탁을 맡은 3대 문화관과 설예원도 장밋빛 운영안을 제시했으나, 전주 한옥마을의 변화된 지형도 안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할 지 미지수다.

 

△ 문화계와 불통

 

전주문화재단이 성공하려면 지역 문화계와 시민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면서 좀 더 적극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멀리는 문화예술정책의 구심점, 가까이는 지역 문화계와 시민들의 ‘문화 사랑방’을 해달라는 주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계는 “재단이 일관되게 어떤 일이든 공개적으로 논의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전에 진행됐던 국밥문화포럼, 천년전주문화포럼 등과 같이 지역 문화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지 않아 외곽에서 군불떼기만 열중하는 모양새다.

 

한 문화예술인은 “그런 측면에서 전주문화재단의 행보가 답답해 보인다”면서 “지역 문화계의 협조도 얻어내지 못하는데, 시민들을 어떻게 끌어들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전주문화재단이 재단 자체의 중·장기적 계획 혹은 생산적인 문화정책을 내놓으려면 민간 전문가들과 허심탄회하게 소통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부尹대통령 "국무회의 통해 계엄 해제할 것"

국회·정당우의장 "국회가 최후의 보루임을 확인…헌정질서 지켜낼 것"

국회·정당추경호 "일련의 사태 유감…계엄선포, 뉴스 보고 알았다"

국회·정당비상계엄 선포→계엄군 포고령→국회 해제요구…긴박했던 155분

국회·정당野, 계엄해제 압박하며 공세 최고조…'탄핵 직행' 주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