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문화인 대토론회 만들자
“전주문화재단이 소통하는 문화적 동반자가 돼달라.”
지역 문화계가 전주문화재단에 한결같이 요구하는 바다. 실제 전주문화재단은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 예술인과 소통의 자리를 위한 예산을 세워두고, 단 한 차례 밖에 쓰지 않아 지적당한 바 있다.
전주문화재단이 내건 비전과 추진 목표는 ‘문화예술인들과 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전주문화재단’. 이를 위해 지역 문화단체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게 선결과제다. 김동영 문화포럼 이공 대표는 “문화계 네트워크는 문화단체 시설들이 상호간 정보제공·공유 등을 위해서, 또 주민들의 문화욕구 충족을 위해 필요하다”면서 “지역의 문화예술 관련 단체·시설을 비롯해 폭넓은 문화예술인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데 전주문화재단이 실행주체로 나서는 게 바람직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윤걸 예원예술대 교수는 가칭‘전주문화인 대토론회’를 제안했다. 문 교수는 “2004년부터 전주에서 진행된 ‘문화정책 전국 대토론회’처럼 전주의 문화예술인들을 대상으로 문화정책에 관한 아이디어를 모으는 자리를 갖자”면서 “다양한 생각을 주제별로 분류하다 보면, 전주문화재단이 나가야 할 방향이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문화재단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은 예산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문 교수는 “(사)마당(이사장 정웅기)이나 (재)우진문화재단(회장 김경곤)이 20년 넘게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 진흥을 해왔던 것은 예산이 많아서가 아니라, 지역 문화계와 충분히 소통했기 때문”이라고 맞받아쳤다. 내년 최우선의 사업 목표는 지역 문화계와 소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한옥마을 10년 새로운 전략 고민 요구도
전주문화재단이 전주 한옥마을의 변화된 지형도에 맞게 새로운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이 ‘한국 관광의 별’,‘슬로시티’로 지정되면서 연간 관광객 350만을 내다보고 있지만, 전주시의 한옥마을 중·장기적 전략은 거의 전무했다. 상업시설이 늘어나고 전통 장인이 한옥마을을 떠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는 민간위탁한 문화시설의 공공성과 수익성의 분기점을 제시하는 일조차 손을 놓고 있었다.
지역 문화계는 “2013년에는 한스타일진흥원·아태무형문화유산전당 개관, 전주시의 민간위탁 문화시설 재계약 여부가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르는 만큼 전주문화재단이 각각의 문화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맞게 공공성과 수익성을 추구할 수 있는 기준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강안 전주문화재단 상임이사도 “전주문화재단이 올해 3대 문화관과 설예원을 맡으면서 한옥마을 내 문화시설과 연대를 강화해, 각각의 역할에 맞는 운영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남규 전주시의원은 시민들의 문화 만족도를 조사하는‘문화지표’ 만들기를 제시했다. 김 의원은 “계량화된 지표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도 있다”고 전제한 뒤 “재단이 어느 문화단체가 다 할 수 있는 사업을 하기 보다는 시민들의 문화수준을 한눈에 살펴보는 지표를 만드는 일부터라도 차근차근 하다 보면 지역 문화계로부터 그 존재감을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