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에 지방 이전 공공기관이 늘어나며 전북에도 여러 이웃이 생겼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사 와서 여러모로 낯설어할 이른바 ‘서울 촌놈’에게 불편한 점은 없는지, 앞으로 우리 옆에서 어떤 일을 해나갈 것인지, 참 많은 것이 궁금해 이전해 온 공공기관을 만나려 했다. 이들과 전북도민을 잇는 연결고리가 되고 싶은 심정도 있었다. 전화로도 어느 정도 할 수 있겠지만, 앞으로 자주 이야기를 나누게 될 이웃의 얼굴 정도는 익혀두고 싶었던 까닭도 있다.
“우선 전화로 인사드립니다. 직접 찾아가서 인사라도 하고 싶은데 언제쯤이 좋을까요.”
혁신도시를 출입처로 둔 기자는 각 기관 홍보담당자에게 반가운 이웃의 입장으로 연락했다.
그러나 한국국토정보공사와 국민연금공단의 문을 두드린 기자에게 돌아온 목소리는 의아함이 묻어 있었다. “전북에 있는 ‘지역본부’나 ‘지사’를 찾아가는 게 어떠냐”는 답변이었다. 그리고 왜 이전 공공기관의 본사를 방문하려는지 알 수 없다는 투로 꼭 한 마디씩 덧붙이는 말들이 있었다.
중앙지 기자와 지역지 기자.
자신들은 중앙지 기자를 상대할 테니 지역지 기자는 각 지역에 있는 지부를 찾아가라는 말이었다.
정부의 국토 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전국 곳곳으로 이전을 마친 공공기관들은 으레 ‘지역사회와의 공생’, ‘지역발전에 보탬’, ‘도민과의 소통’ 등을 읊어왔다. 하지만 집만 지방으로 옮겼을 뿐, 진정성이 얼마나 담겨 있는지는 의문이다. 새로 이사 온 집의 가주(家主)와 인사라도 나누고 싶은 이웃에게 ‘당신이 올 곳은 여기가 아니다’는 반응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도민의 눈과 귀, 그리고 입인 지역언론을 에둘러 돌려보낼 정도라면 자치단체나 또 민원인들이 내놓는 목소리는 얼마나 귀담아 들을지 사뭇 안타깝다.
전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농촌진흥청과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예처럼 지역의 자원을 활용해 지역과 함께 호흡하며 전북에서 새로운 발걸음을 준비하는 기관들도 있다.
전북에 새 둥지를 튼 공공기관들이 도민에게 가까이 가려는 노력은 하지 않더라도, 다가오는 사람까지 꺼리지는 않기를 바랄 뿐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