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시장에서 한 나라가 상품을 팔아 번 돈과 외국 물건을 수입하기 위해 쓴 돈의 차이를 일컫는 ‘무역수지’가 있는 것처럼 이 분야에서도 ‘미술 교역수지’가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중국에 비해 한국은 이 ‘미술수지’가 적자인 상태죠. 나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비장한 각오로 중국 상해에서 한국 갤러리를 열게 됐습니다.”
2015년 작품성은 좋지만 가로 길이가 8미터에 달하는 대작으로 수집가를 찾을 수 없던 수천 만 원대의 전북지역 여성 작가 작품이 한 중국 무역회사 CEO에게 판매됐다. 역량 있지만 개인적 사정으로 붓을 꺾으려던 작가의 300호 작품을 그 자리에서 구매해 작업을 지원하기도 했다. 대작 구매가 많지 않은 전북지역 미술계에서 정체가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수집가의 과감한 결정(?)은 지역 미술인들 사이에서 회자됐다. 또 이즈음부터 도내 미술가들의 중국 초대전 개최와 레지던시(미술인 작업실) 입주가 잦아지는 등 전북 미술의 중국 진출도 늘어나게 됐다.
이러한 배경 뒤에는 중국 상해에서 활동하는 전북 출신의 박상윤(54) 윤아르떼 갤러리 대표가 있다. 국내에서 연매출 400억 원의 무역회사 ‘상윤무역’의 CEO로 알려져 있는 그가 미술 분야에 뛰어든 것이다.
예술 분야와 연관이 없던 그가 갤러리와 레지던시를 운영하게 된 계기는 지난 2015년 전주MBC와 공동으로 ‘한국작가 4인 초대전’을 열게 되면서부터다.
“전시 기간 미술가들과 지내며 이들의 열정과 작업정신을 몸소 느꼈어요. 그림 한 점이 완성되기까지의 노력과 열악한 환경에도 붓을 꺾지 않는 의지를 듣고 나니 전시 주최자로서 작품 한 점이라도 더 판매해야 된다는 의무감이 들더군요. 작품이 판매되면 붙이는 빨간 스티커가 붙었을 때 작가의 눈에 살짝 고인 눈물을 잊을 수가 없어요.”
예술인의 열정을 사랑했던 그는 2015년 5월부터 중국 상해에서 ‘윤아르떼 갤러리’ 운영을 시작했다. 익산 남성고와 전북대 무역학과를 졸업한 그의 애향심과 의지에 따라 전북 작가를 우선적으로 초대하고 있다.
“미술 분야도 학벌과 지역에 따라 차별을 받더라고요. 전북 작가들이 서울로 가려고 애쓸 필요 없이 바로 전 세계 미술시장의 3분의 1 규모인 중국에 진출해 좋은 평가를 얻고 서울 갤러리들이 초대할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 교두보 역할을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올해 윤아르떼 갤러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이기홍 작가의 전시를 비롯해 박인현(6월) 서완호(9월) 김지현(11월) 개인전이 계획돼 있다. 오는 6월 프랑스 칸에서 열리는 제1회 앙데팡당 전시회에 초청돼 이주리, 서완호 작가 기획전을 열고, 11월 상하이 아트페어에도 작가들과 참가할 예정이다.
전시 개최와 함께 레지던시 운영도 활발하다. 그는 “중국 미술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맥락만으로 한계가 있다”면서 “레지던시에서 머물며 현지 분위기를 느끼고 중국 미술 경향도 읽는 등 다채로운 경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무역회사와 섬유 가공업 제조회사를 운영하고 있지만 전문 경영인에게 맡기고 저는 전시를 기획하고 갤러리를 직접 운영하는 데 힘쓰고 있어요. 제 인생 후반전은 여기에 올인할 겁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