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로컬푸드, 우리의 밥상과 농업을 더 건강하게

김종훈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
김종훈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

아침, 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부는 8월말, 완주 안덕마을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있었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역 내에서 우선 소비하는 로컬푸드 소비체계를 구축하려는 공무원, 생산자, 소비자, 활동가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들이 모인 장소가 자타공인 ‘로컬푸드 1번지’ 완주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로컬푸드란 우리 지역에서 생산된 농식품이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함으로써 생산자-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운 먹거리이다. 지역의 농업인은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걸고 농산물을 생산하여, 보다 높은 가격을 받고 팔 수 있다. 소비자는 신선하고 맛있는 농산물을 적정 가격에 믿고 구매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부가가치가 지역 내에서 순환하여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먹거리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환경부담도 줄일 수 있다.

로컬푸드는 상업화되어 가는 농업의 대안으로 1970년대 등장하였다. 먹거리의 사회·경제·문화·생태적 의미를 되살리고 먹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경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 공공급식, 직거래장터, 직매장 등을 중심으로 로컬푸드 소비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로컬푸드는 완주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완주군은 지역의 소농, 고령농 위주의 농업이 지속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로컬푸드에서 찾았다. 2008년부터 10여년 동안 꾸준히 로컬푸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한 결과,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직매장, 농가레스토랑, 학교급식 등의 매출액은 연 600억원을 넘어섰고, 2500여 영세·고령농 등에게 월 180만원 정도의 소득을 보장하고 있다. 200여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졌고, 협동조합·사회적기업·마을회사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공동체가 살아나고 있다.

완주의 이러한 성과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먹거리 정책에 대한 최초의 국제 협약인 ‘밀라노 도시먹거리 정책협약(Milan Urban Food Policy Pact)’의 2018년 우수도시 시상식에서 아시아 최초로 특별상(거버넌스 부문)을 받는 쾌거를 이룬 것이다. 국제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완주군의 로컬푸드 정책을 우수사례로 소개하기도 하였다.

정부는 완주의 사례처럼 로컬푸드를 활용하여 지역단위의 지속가능한 먹거리 선순환체계를 확산해 가고 있다. 그간 로컬푸드 직매장 설치·운영을 지원하던 것에서, 2018년부터는 혁신도시 공공기관 구내식당, 접경지 군대 등을 중심으로 공공급식에 로컬푸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선도모델을 보급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시민사회와 지자체가 로컬푸드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로컬푸드 확산을 위한 3개년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시민단체와 함께 ‘로컬푸드 지수’를 개발·운영하고, 지역에서 중소농 중심의 안전한 농산물 및 가공식품 공급체계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완주군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로컬푸드를 통해 농업·농촌을 지속가능하게 함은 물론 우리의 밥상도 건강하게 지킬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살리는 로컬푸드의 가치가 완주를 넘어 우리나라 곳곳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

/김종훈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경제일반농협중앙회 전북본부장 이정환, 농협은행 전북본부장 김성훈 임명

사회일반[비상계엄 선포···해제] 긴급 재난 문자, 계엄령땐 안 와

포토'윤석열 퇴진 촉구', 촛불 든 시민들

정치일반김 국방장관 "계엄 관련 모든 사태 책임질 것...국민께 송구"사의표명

정치일반[비상계엄 선포…해제] ‘비상계엄 여진 지속’ 국회서부터 번진 비상시국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