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1-28 19:45 (목)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외부기고

노벨문학상과 주변국 언어

image
남형두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함께 거명되는 번역자 데보라 스미스에 관한 일화를 소개한다. 번역 저작권을 연구하던 중 2017년 연세대학교 유영 번역상 세미나에서 수상자 스미스를 만났다. 한국말을 잘할 줄 알았는데 의사소통이 안 돼 영어로 몇 마디 나누었다. 그런데 그것이 흠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작년 초 한국문학번역원이 개최한 한국문학번역상 신인상 취소 관련 재심위원회에 참여한 적이 있다. 모 일간지 기자가 일본인 수상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다가 한국어 대화 능력이 부족한 데서 출발해 인공지능 번역기를 사용했다는 것을 알고 보도했다. 확인 차원에서 일부 번역기를 사용했음이 밝혀져 해프닝으로 끝나고 수상은 유지됐다.

인공지능 번역 문제는 차치하고 두 사례는 한외번역, 즉 한국어 원전을 외국어(영어와 일본어)로 번역했다는 것과 번역자들의 한국말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한국어 말하기 능력과 번역 능력의 연관성에 대한 관점에 차이가 있다.

언어의 헤게모니로 생긴 일이다. 수많은 언어 가운데 중심국 언어와 주변국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불편한 현실이다. 영어는 중심국 언어이고 한국어와 일본어는 주변국 언어라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중심국인 서구 언어 간에는 어떨까? 체코 출신 밀란 쿤데라는 프랑스에 망명해 프랑스어로 소설을 썼다. 자신의 책이 영어, 독어 등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오역은 물론 뉘앙스가 잘못 전달되는 것에 극도로 민감했던 그는, 이례적으로 번역과 저작권에 관한 책을 남겼다. 『배신당한 유언들』이라는 책에서 번역자가 따라야 할 최고 권위는 저자의 개인적 문체임에도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공동 문체를 최고의 권위로 여기는 것을 참을 수 없어했다. 중심국 언어 간에 이런 치열함, 긴장감이 있다는 것이 새삼스러웠다.

데보라 스미스의 번역 『Vegetarian』에 있는 적잖은 오역은 한국 번역문학계에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채식주의자』에 나온 ‘수간호사(首看護士)’를 ‘male nurse’로, ‘춘화(春畵)’를 ‘spring flower’로 번역한 것이 그 예이다. 만약 외한번역에 이런 오역이 있다면 같은 잣대로 관대했겠느냐는 지적이다. 타당한 말이나 어찌하겠는가? 언어 간 헤게모니가 있다는데..

스미스의 오역을 들춰내 한강의 놀라운 업적을 깎아내릴 생각은 추호도 없다. 오히려 한강 소설을 정말 좋아한다는 스미스와 함께 일한 한강이 너무나도 부러울 뿐이다. 소설가는 아니지만 내가 쓴 논문이나 책을 도착어권의 맥락에 맞게 정확한 문장으로 번역해줄 스미스 같은 파트너를 만난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운인지 한국어로 글쓰는 이는 쉽게 동의할 것이다.

스미스가 없었다면 한강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을까? 이 질문은 한강의 수상에 조금도 흠집을 내지 않는다. 맨부커상이 작가와 번역자에게 공동 시상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을 받은 봉준호 감독이 “1인치 자막의 장벽을 뛰어넘으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다”라고 한 수상소감은 시상식장에 큰 울림을 주었다. 

우리와 같은, 아니 우리보다 더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주변국에도 한강과 같은 보물이 있지 않을까? 중심을 지향하다 보면 자칫 주변을 놓치기 쉽다. 한강의 노벨상 수상으로 문화의 주변국뿐 아니라 우리 안에서도 중심부에 있지 않은 보석이 있지 않은지 돌아보게 된다.

남형두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벨문학상 #한강 #언어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