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 해묵은 현안인 전주·완주 통합 문제가 지방선거 이후 급부상하고 있다. 민간 차원에서의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전주·완주 통합은 지난 1997년 이후 2009년과 2013년 등 모두 세 차례 시도 됐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2013년 팽팽한 찬반 논란 속에 치러진 완주지역 주민투표에서도 군민의 절반 이상이 반대표를 던졌다. 양 지역 통합 논의는 전주는 찬성, 완주는 반대라는 결과로 고착됐다. 사실상 열쇠는 완주군민에게 주어진 셈이다.
전주·완주를 통합해 광역화하자는 논의는 2013년 주민투표 이후 가라앉았다가 지난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송하진 지사가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초광역 지방자치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전북지역 행정구역 대개편에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게 발단이다. 이후 지역의 원로들이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열고 전주·완주통합추진협의회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주민투표를 통해 통합 반대 의사를 공식적으로 보여준 완주군민 입장에서는 수시로 고개를 드는 통합 이슈가 마뜩지 않을 수도 있다.
어쨌든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전주·완주 통합 문제가 맥없이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과정에서 후보들이 자연스럽게 통합 의제를 꺼내들었다. 특히 김관영 전북지사 당선인과 우범기 전주시장 당선인이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 추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여기에 민간 차원의 통합 논의도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부·울·경과 충청권 등 곳곳에서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 메가시티(초광역도시) 조성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만 메가시티 전략에서 소외되고, 특별자치도 지정도 받지 못해 도시광역화 추세에 뒤처져있다.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전북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전주·완주 통합을 넘어 그 이상의 도시 광역화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다.
그렇다고해서 행정 주도의 밀어붙이기식 통합 추진은 절대 안 된다. 반대 여론이 만만치않은 완주지역에서 주민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준비와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 공론화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역할도 요구된다. 전북도가 지역 상생방안을 마련해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