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을 기업이 맘껏 돈 벌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 보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새만금 방문 당시 한 말이다. 당선인 시절 그는 지역순회 일정의 첫 방문지로 호남 그것도 새만금을 찾을 만큼 새만금을 ‘기업천국’으로 만드는 데에 관심이 높았다. 전북을 찾은 윤 대통령은 “취임을 앞두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데 ‘국민이 잘 먹고 잘살아야 한다’는 오직 한 가지 목표밖에 없다”면서 “새만금은 세계 어디에 내놔도 견줄 만한 곳이 없을 만큼 좋은 입지고 국내외 기업을 유치해서 개발을 못 시킨다면 우리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의 실리콘 모델을 염두에 두고 한 것으로 그는 대선 공약에도 새만금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이 언급하기 전부터 새만금의 관광모델이 라스베이거스와 싱가포르에 있다면 경제 모델은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 있었다.
실제 구글, 애플, 넷플릭스 등 세계의 트렌드를 이끄는 기업이 모두 모인 실리콘밸리는 여전히 새만금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모르는 기업이 없는 IT 성지
실리콘밸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도시 산호세(San Jose)부터 레드우드 시티, 산타클라라, 서니베일, 쿠퍼티노, 마운틴 뷰, 팔로 알토, 멘로파크 일대를 이르는 지역이다. 실리콘밸리라는 명칭은 반도체에 쓰이는 규소(Silicon)와 샌프란시스코 만 동남쪽, 남쪽 길로이 방면으로 펼쳐진 산타클라라 계곡(valley)의 합성어로 1970년대부터 널리 쓰이고 있다. 실리콘밸리에는 모르는 기업이 없을 정도다. 특히 구글, 애플, 넷플릭스 등 전 세계의 뉴노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또는 표준)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은 모두 실리콘밸리에 밀집해 있다.
실리콘밸리가 여전히 기업들의 최고 성지로 굳건히 자리는 지키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세계에서 모여드는 유능한 엔지니어와 사업가 △모험을 불사하는 자본 투자자(venture capital) △UC버클리, 스탠포드 등의 교육 연구기관들의 밀집하면서 시너지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특히 캘리포니아의 입지적 요건도 한몫한다. 캘리포니아 해안 지역 특유의 고온건조한 날씨와 국제공항, 교통여건 등도 기업하기 좋고, 살기 좋은 곳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영향을 줬다. 유일한 단점은 살인적인 지역 물가와 교통난이다.
고용 계약서에 비경쟁 조항 금지 역시 세계 유수의 인력이 실리콘밸리를 찾는데 중요한 요소다. 보통 고용주들은 영업비밀과 기술경쟁력의 보호를 위해 퇴사 후 다른 곳에 최소 1년간 일하지 못하도록 고용 계약서에 비경쟁 조항을 넣는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이는 많은 엔지니어들이 실천하지 못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을 하는데 도움이 됐다. 지난해 높은 물가에 본사를 텍사스로 옮긴 테슬라를 제외하더라도 실리콘밸리에는 현재 구글, 애플, 이베이, 넷플릭스, 인텔, 엔비디아, HP,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등 수 백여개 이상의 기업이 성공신화를 쓰고 있다.
△좋은 기업환경은 교육환경과 비례
실리콘밸리 인근에는 서부 최고의 명문대학인 스탠퍼드대학교가 자리한다.
구글을 창업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MS 1995), 야후를 창업한 제리 양, 나이키 창업자 필 나이트, 인스타그램 창업자 케빈 시스트롬, 넷플릭스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 등 미국 경제계를 주름잡는 수많은 CEO가 스탠퍼드대 출신이다.
스탠퍼드 동문들이 세운 회사들의 총 수입이 2조7000억 달러(환화 3555조 9,000억 원)이상으로 알려졌다. 캘리포니아 주에만 스탠퍼드 동문에 의해 설립된 회사가 1만8000개다. 지난 2017년 조사를 기준으로 74명의 억만장자가 스탠퍼드 출신이다. 이는 대학에서부터 실리콘밸리와 동반성장하는 학풍의 특징으로 우수한 인재들이 창업에 나서 새로운 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스탠퍼드는 초일류의 연구중심 종합대학이다. 지난 2021년 미국의 대학평가기관인 US News 기준으로 세계 3위에 랭크될 정도로 명문 중의 명문으로 올라섰다.
지리적 이점으로 실리콘 밸리와의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벤처 붐의 산실이라해도 무방하다.
캠퍼스는 그 규모가 약 33㎢으로 여의도의 4배 서울시 서울대학교(3.9㎢)의 8배 정도다.
새만금 역시 새만금 규제자유특구 내 창업과 기업유치를 꿈꾸려면 장기적인 시각에서 제대로 된 교육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교육과 경제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때문이다.
△새만금밸리 신(新)구상
새만금을 실리콘밸리처럼 키우자는 구상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공과대학 교수 출신인 김동원 전북대학교 총장은 지난 2014년부터 ‘새만금벨리 신구상’이라는 복안을 제시했다.
미국 MIT와 피츠버그대, 버지니아 주립대 등에서 활동했던 그는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새만금밸리의 청사진을 그렸다.
김 총장은 “지역은 물론 국내 인력이나 기술만으로는 성공적인 새만금밸리를 담보할 수 없다”면서 해외인재 유치를 주장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우수한 해외인재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맞이할 새로운 국제캠퍼스가 필요하고, 최소 부지 100만평을 새만금개발청과 협력하여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국제캠퍼스를 조성하면 인재가 모일 수 있다는 논리다.
특히 실리콘 밸리와 같이 외국인 거주자가 많아지고 외국인 CEO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아시아 및 제3세계에서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도록 대학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새만금에는 빈 땅이 너무 많고 입지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견줄 수 없을 만큼 좋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김관영 전북지사 역시 새만금 발전전략이 국내 제도나 기준에 머무르면 절대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