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이 꼽는 국보 1호는 교토 광륭사에 있는 ‘목조반가사유상’이다.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이처럼 인간 실존의 진실로 평화로운 모습을 구현한 예술품은 본 적이 없다’고 극찬했다는 바로 그 불상.
그러나 이 불상을 더 주목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같은 반가사유상이라해도 광륭사 불상과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는 국보 제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이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양식과 모습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무와 금동이라는 재질만 다를 뿐 그 모습이 흡사해 ‘쌍둥이 불상’으로도 불리는 이 불상들은 덕분에 세상에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광륭사 불상은 삼국시대에 제작되어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양식뿐 아니라 재료도 일본 초기 불상들이 모두 노송을 사용한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적송을 사용했으며 기법도 전신을 여러 개 나무로 따로 만들어 조합하지 않고 모두 한 덩이 나무로 조각했다는 점이 그런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다.
30년 전, 조선통신사가 지나간 길을 따라간 답사길에서 광륭사 ‘목조반가사유상’을 마주했다. 빛을 절제한 공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신비로움에 빠져 있던 일행 사이에서 누군가가 ‘이것도 우리 것 아닌가?’라고 말했었다.
사실 답사길에서 만났던 일본의 수많은 문화재 중에는 우리나라 유물이 적지 않았다. 정상적(?) 과정을 통해 전달된 것들이 대부분이었겠지만 건너온 사유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것들도 많았다. 그때 건너온 과정이 명쾌하지 않은 일본 속 한국의 유물들은 얼마나 될까 궁금하게 한 불상이 있다. 대마도 관음사에 있던 고려시대 관세음보살좌상이다. 이 불상 역시 ‘훔쳐 간 것’이 아닐까 의심을 갖게 한 것 중 하나였는데, 옮겨진 과정이 어느 것 하나도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불상이 지난 2012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놀랍게도 문화재 절도범들이 훔쳐 온 ‘장물’(?) 신세였다. 그러나 불상의 원소유주인 서산 부석사는 일본이 고려 말기 훔쳐 간 약탈 문화재이니 환수해야 한다며 곧바로 인도 청구 소송을 냈다. 1심 재판부는 부석사의 손을, 2심 재판부는 일본 관음사의 손을 들어주었다. 대법원 상고가 예고되어 있지만,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다. 국제법에 따르면 훔친 문화재는 돌려줘야 하고, 전문가들의 입장은 약탈 문화재라 해도 다시 약탈로 찾아오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는 데 무게가 실려 있다.
일제 강점기, 일본에 빼앗긴 우리 문화재들을 되찾아 오는 정당한 방법은 없을까 궁금해진다. 때마침 일본에서 약탈 문화재 반환 운동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는 소식이 있다. 우리의 환수 운동에 더 큰 힘을 모아야 하는 이유가 생겼다. / 김은정 선임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