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문화원(나종우 원장)이 고지도에 기록되어 있는 전주의 옛 지명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고지도에 나타난 전주지명’ 이라는 책으로 발간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가 지역문화 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전주 고지도에 담긴 이야기와 제작 과정 등이 수록되었다.
전주 고지도(古地圖)는 조선 초기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기계를 발명하여 지도 제작에 활용했을 뿐 아니라 조선 후기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과학서를 통해 위도와 경도를 이용한 세계지도의 존재를 조선지도 제작에 적용했다.
이와 함께 평면지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기호를 활용해 지리 정보 제공에도 힘썼다. 산맥과 물길을 중심으로 풍수적인 관점에서 지도를 그렸고, 건물과 산성의 모양을 상당히 자세하게 그려 넣고 지명을 기록했다.
조선후기에 제작된 군현지도나 1872년 제작된 전주 부지도에서는 산천(山川), 방리(方里), 창고(倉庫), 묘전(廟殿), 단사(壇司), 학교(學校), 성지(城址), 누정(樓亭), 관방(關防), 역원(驛院), 불우(佛宇), 교량(橋梁), 제언(堤堰), 장시(場市), 고적(古跡) 등이 나타나며 마을 이름도 면과 리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명기하기 시작한다.
이때 기록된 마을 명칭이 상당 부분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이 지도에서는 전주시를 포함해서 충청도 대둔산 아래 양촌과 익산 황등면, 김제 공덩면을 아울렀고 남쪽으로 김제 귀신사, 완주 산관과 구이를 모두 포함하는 아주 넓은 지역이었다.
이번 논고는 전주 고지도의 변천과 특성에 대한 논고를 시작으로 규장각 소장 전주부지도와 1872년 전주부지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국립전주박물관과 전북대학교에 소장된 전주부지도를 분석하고 비변사 안방지도 속의 전주부의 군사적 중요성을 조사했다. 전주 지도를 정밀조사해보니 경기전 앞에 거북좌대와 비신이 그려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비석이 조경단을 축조할 때 이건되었음을 밝혀냈다. 전주부 주변의 완산지형도와 묘도를 분석하고, 일제강점기의 촌락과 해방 이후 항공 지도를 통한 마을 지명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전주문화원은 매년 지역의 문화콘텐츠가 되는 내용을 <호남제일성>에 수록하고 있는데, 145호에는 전주단오 이야기와 전주의 여항시인 오상수에 대한 내용을 게재했다. 또 전주의 승경으로 유명했던 승금정에 대한 연구와 조경단비 연구, 그리고 덕진연못 주변의 나무를 조사해 <완산팔경의 하나인 덕진연못>으로 펴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