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택 국회의원
우리가 사는 세상의 진리 속에 전북발전의 기회를 엿본 주제발제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 본 의원도 이형규 위원장과 같이 전북의 강점을 살리려는 전략이 절실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눠 설명하겠다.
첫 번째는 첨단 농생명 산업이다. 전북은 농촌진흥청과 하림, 농업기술실용화 재단 등 산업화 기반이 갖춰져 있는데도 이를 한데 연결하는 게 부족하다. 두 번째는 탄소산업이다. 최근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지정됐는데 이를 기회로 삼고 산업을 선도해나가야 한다. 탄소소재를 자동차와 비행기를 넘어 생활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친환경에너지시대 중심지로 도약하자는 것이다. 새만금은 친환경에너지 발전에 그 어느지역도 가지지 못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 세 가지 전략과제는 연계성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시대의 트렌드와도 맞닿아 있다. 생태문명 정책 속에 이를 녹여 방향성을 갖고 나가는 추진력이 필요하다.
△이중희 전북대 대학원장
이원택 의원은 사업적인 특화 분야를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토대는 결국 ‘사람’이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발제와 의원님이 말한 농업과 에너지 분야 우리 전북에서만 그런 특색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냉정하게 말하면 그렇지 않다고 본다.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 ‘브레인’ 곧 인간의 머리다. 이 머리는 인재로부터 나오는데 교육인프라가 약한 전북은 인재들이 죄다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서울로 진학한 사람들은 전북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전북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나갈 것인가. 해답은 대학육성에 있다. 전북의 대학들이 서울 소재 대학보다 더 인재를 잘 육성한다고 평가받으면 자연스레 인재가 지역으로 모이게 된다. 교육이 먼저 바탕이 돼야 전북이 더 살기 좋아지지 않을까라고 본다. 또 대학과 산업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지방대학이 지역 내 산업체와 잘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이 확대돼야한다.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의 시대를 열어가는 것도 인재들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김택천 지방분권전국회의공동대표
지역이 발전하려면 시민이 정치의 중심으로 등장해야한다. 정부가 내놓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도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야 전북도민들 또한 지역에 더 애정을 가지고 발전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과거 우리나라 성장을 주도한 제조업 중심의 경제성장은 한계에 직면해 있다. 고성장시대에서 저성장시대가 온 것인데 이 지점에서 가치의 변화를 읽을 수 있어야한다. 또 전북을 제외한 지역들이 초광역 도시통합이라는 과제를 통해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과거 도시 간 통합을 넘어 광역자치단체 간 통합이 특징인데 광역 거점이 없는 전북만이 의제로 부각 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이 문제 역시 정치권의 일방적 결정이 아닌 지역 내 협의와 토론이 필요한 주제로 도민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줘야 한다. 전북이 우려하고 있는 지방소멸은 전 세계 지방도시가 겪고 있는 공통적 현상이다. 대책도 단순한 인구감소정책을 넘어선 방향이 제시돼야 한다. 지방정부가 위기의식을 갖고 지방소멸국 등을 신설해서 중점적으로 이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조상진 전북일보 객원논설위원
전북은 되는 게 없다는 부정적인 인식부터 깨자. 전북은 오랫동안 권력에서 소외돼 왔고, 도민들의 도전정신도 약해졌다.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전주완주 통합이다. 두 지역이 통합하려면 전주시의 통 큰 양보가 필요한데 전주 대신 아닌 완주시로 이름을 짓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전북은 광역시도 통합을 거론하기 이전에 내부부터 추스르는 작업도 필요하다. 옛날말로 못 사는 집에 분란이 잦다는 말처럼 전북은 민선자치시대 이후 다른 지역 보다 지자체 단체장 간 불화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북지사와 전주시장 간 불협화음은 그 역사가 깊다고 할 정도다. 전북도와 전주시가 화합해야 전체 지역발전이 가능하다. 요즘은 이를 넘어 인근 지자체 간 싸움도 격화되고 있다. 서로 양보하고 큰 틀에서 지역발전을 논하는 대승적인 모습을 보여 달라. 전북경제가 낙후된 원인은 3가지로 압축된다. 경부권 중심의 불균형 성장정책과 농업 위주의 경제구조, 행정구역 축소(1906년 구례군→전남으로, 1963년 금산군→충남으로)가 그것인데 이를 극복하려면 대기업의 지역화를 추진해야한다.
△김영기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대표
전북의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은 권력독점과 시기심이 커진 데 있다. 권력독점의 경우 특정 당에서만 국회의원 단체장이 나오니까 경쟁이 사라지고 줄 세우기만 계속되고 있다. 실력 없이 사람 잘 사귀고, 인심 잘 쓰는 사람이 인정받는 분위기가 지역 내에 형성되기 딱 좋은 구조다. 이러니 역량 있는 정치인이 지역에서 배출될 리 만무하다. 민선시대가 들어서고 많은 단체장과 의원들이 전북을 위해 나름 뛰었지만 지역은 점점 낙후됐고, 이제는 회복 불능의 상태로 전락했다. 타 지역에선 초광역 통합 이야기가 나온다는 데 이러다가 전북은 전라도로 통합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높다. 경쟁 없이 지역이 발전할 수 없다. 물론 과열경쟁은 사람을 피폐하게 만든다. 그러나 전북은 너무 경쟁을 꺼리고 특히 정치인들의 경쟁이 실종됐다. 경쟁이 당연하게 인식되는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지역 내 고질적 병폐인 끼리끼리 문화를 타파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