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해결책으로 '탄소중립'이 대두되면서 미래의 먹거리를 위해 필수적인 친환경농산물의 재배 기법이 탄소 배출을 줄여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유력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도내 친환경인증농가가 10년 새 절반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친환경인증농가는 농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해 합성농약·화학비료 등 화학자재를 최소화해 건강한 환경에서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가다. 화학자재 사용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환경·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5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친환경인증농가(농산물 기준)는 3718호다. 10년 전인 2013년(7476호) 대비 크게 감소했다. 가장 많았던 2009년(1만 1937호)과 비교하면 70% 가까이 줄었다.
친환경인증농가 감소 요인에는 판로 개척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중 주요 요인으로는 비용 문제가 제기됐다. 일반 농가와 비교해 매출은 비슷하지만 화학자재를 최소화하는 탓에 더 많은 관리와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큰 편이다.
전북도는 친환경인증농가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판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직불금·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기술정보 보급사업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올해 1월 기준 14개 시·군 중 직불금을 제외한 생산 장려금을 지원하는 시·군은 6곳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시·군은 전주·익산·남원시, 임실·순창·부안군 등이다. 완주·고창군은 각각 친환경 벼, 친환경 브랜드 쌀 수매 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다.
14개 시·군 모두 공통적으로 생산 장려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비용 부담이 큰 친환경농업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일반 농가에 비해 생산량이 적고 가격 경쟁력도 낮을 수밖에 없어 고민이 많다.
생산원가가 적어야 질 좋은 친환경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지만 노동 강도·친환경 농업 부담 비용이 일반 농가와 비교해 큰 탓에 어려움이 많다는 게 친환경인증농가들의 현장에서 나오는 목소리다.
박서구 전북친환경농업협회장은 "일반 농가와 비교해서 일이 많고 노동 강도가 있다 보니 기피하는 농업인이 많은 듯하다. 고령화로 인해서 농업인이 많지 않을뿐더러 친환경농업에 부담을 느낀다"면서 "특히 생산 장려금의 경우 여력이 되는 시·군만 시행하고 있는데 전체 시·군으로 확대돼야 한다. 전북도에서 포괄적으로 하면 좋겠다는 마음도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