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9일 한 해의 말미를 장식하는 오페라 카르멘 공연이 군산 예술의 전당에서 100여 명의 단원들이 연합하여 드라마틱한 무대를 완성했다.
전북을 대표하는 오페라단이 되고자 하는 포부로 15년간을 달려온 ‘뮤직씨어터 슈바빙(대표 전북대 이은희 교수).’
공연제작 입장에서라면 최악의 시기라 할 악조건이건만 마치 무엇에 홀린 듯 해마다 볼거리, 들을거리를 내놓는 그들에게 박수를 보내는 마음으로 극장에 들어섰다.
놀란 것은 이미 꽉찬 객석. 오페라 공연을 접하기 어려운, 그럼에도 귀에 익숙한 작품을 기대하고 찾아준 지역의 문화애호가들이 고마웠다.
또 하나 놀란 것은 공연을 마친 후 커튼콜이다. 그냥 지인의 무대여서가 아니라 진심이 배어난 뜨거운 반응이고 환성이었다.
이번 공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음악 완성도였다. 오페라 공연의 중심이라 할 오케스트라는 고정적 상설단체가 아닌 일시적 프로젝트 악단일 수밖에 없다. 이번 공연만을 위해 구성·운영돼고는 해체된다. 돈이 문제다. 그럼에도 이미 역량이 검증된 지휘자 최재영의 노력과 음악코치, 성악가들의 땀흘린 결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어린이 합창이었다. 어디 내놓아도 손색없을 만큼 음악은 물론, 무대 동작과 극적 효과까지 완벽했다. 어린 친구들이 마음껏 공연무대를 휘저을 때가 오리라 기대할 만했다. 돈호세 역의 김진우의 발굴은 지역 성악계의 적지 않은 소득이었다.
접근하기 쉽지 않은 배역을 딱맞는 음색과 부드럽게 열린 발성으로 잘 풀어갔다. 순수남 호세의 서정과 열정이 자연스러워 차기작도 기대될 만큼 좋았다. 주인공 카르멘 역의 신진희는 아름답고 자유로우나 무서울만치 냉정한 집시가 돼, 그것도 남성 배역에 따라 다른 모습의 연기와 음악을 충실히 표현해 갔다.
막이 전개될수록 카르멘의 유연한 연기와 노래는 청중의 시선을 압도해 나갔다. 투우사의 조재경도 고급스러운 색깔와 연기로 최적임을 과시했다.
필자는 독일의 오페라단에서 5년 정도 재직한 경험이 있다. 그래서 유럽의 무대를 잊지 못한다. 무엇보다 무대 뒤 시스템이 완벽함에 부럽기만 했다.
우리나라는 국립 오페라단과 서울시, 대구시, 광주시에 지자체 소속 오페라단이 있을 뿐 거의 소명감을 가진 음악가 중심으로 구성된 사립 예술단체이기에 열악한 가운데 자구노력으로 발버둥치며 종합예술인 거대한 오페라 무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국가나 지자체가 문화·예술에 대한 장르별 지원책과 국립, 도립, 시립예술단의 운영시스템을 확대하여 예술가들이 안정된 일터에서 예술혼을 바쳐 무대를 창작하고 선진 문화국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함을 피력하는 바이다. 우리나라 오페라가 언제쯤 뮤지컬만큼 세계무대로까지 뻗어가고 음악가들은 기량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 멀기만 하다. 그러나 결코 멈출 수 없는 걸음을 이어가는 지역의 음악인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재정적으로나 오페라,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인식의 열악함도 꿋꿋이 이끌어 가는 이은희 대표에게 큰 지지의 함성과 축하의 말씀을 전한다. 특히 전북의 음악인재들이 성장하여 미래사회의 향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최동규 한일 장신대 명예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