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소녀, 양파들, 청종⋯. 1970년대 중반 한 시대를 풍미하던 인기 가수들의 이름이 갑자기 바뀌었다. 정부가 외래 풍조 단속과 언어순화를 이유로 연예인들에게 외국어 이름을 우리말로 바꾸라는 압력을 가했다. 그래서 바니걸스는 토끼소녀, 어니언스는 양파들, 블루벨스는 청종이 되었다.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지만 그때는 그랬다. 1970년대 정부가 대대적으로 언어순화 운동을 펼치면서 수많은 외래어가 우리말로 정리됐다. 하지만 이렇게 조성된 우리말 열풍은 오래가지 못했다. 억지로 될 일이 아니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신조어, 줄임말이 유행했고, 무분별한 외래어‧외국어 사용이 꾸준히 사회문제로 부각됐다. 그러면서 언어순화 운동도 계속됐다. 국립국어원이 생활 속의 외래어나 신조어를 우리말로 바꿔 보급하는 언어순화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했다.
21세기 들어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급부상하면서 학교에서도 언어순화 운동이 펼쳐졌다. 교육부의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각 시‧도교육청이 언어순화 운동에 나선 것이다. 2012년 인천을 시작으로, 부산과 세종, 울산, 대구, 경기, 전남 등 각 시‧도에서 ‘학교 언어순화운동 권장 조례’를 잇따라 제정했다. 전북에서도 2021년 ‘전라북도교육청 학교 언어순화운동 권장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에서는 언어순화 운동을 ‘규범에 어긋난 말과 비속한 말을 올바른 말로 바로잡고, 외래어를 가능한 순우리말로 바꾸어 쓰는 활동’이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이 조례는 ‘권장’ 수준을 넘어설 수 없다는 한계가 분명했다. 학교에서 적극 참여하지 않는다면 조례는 그저 교장 선생님의 지루한 훈시처럼 선언적 의미에 그칠 수밖에 없다. 지금 실정이 그렇다.
과도한 줄임말과 국적불명의 신조어, 그리고 무분별한 외래어, 비속어 사용이 논란이 된 지 오래다. 한글 파괴라는 비판적 시각이 많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한글의 진화라는 주장도 있다. 언어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사회적 현상이다. 언어의 확장성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적당한 줄임말과 신조어‧외래어는 언어 생활을 한층 풍성하게 해주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 정도가 지나쳐 한글 파괴로 이어지면 세대 간 격차와 불통만 부추길 수 있다. 실제 우리 사회에서 언어의 본래 기능인 의사소통에 벽이 생길 정도니 선을 넘은 게 분명하다. 특히 인터넷과 TV 등 통신‧방송 매체가 신조어와 외래어‧외국어를 남용하면서 이를 조장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다시 ‘한글날’을 보냈다. ‘우리말 쓰기’의 필요성을 또 한 번 생각해 볼 일이다. 이해하기 쉽고 어감도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도 애써 이를 외면한 채 국적불명의 신조어나 외국어를 남발하는 일은 삼가야 하지 않을까. 한글날에만 반짝 우리말 쓰기를 강조하고, 평소에는 정반대의 행태를 보이는 방송매체부터 달라져야 할 것이다.
/ 김종표 논설위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