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은 우리만의 문제일까. 남북한 이산가족처럼 이산의 아픔을 안고 사는 가족들은 아시아, 중동, 유럽 등 지구촌 곳곳에 있다. 아시아에서 이산가족의 상호방문이 가장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곳은 중국과 대만. 중국과 대만간 이산가족상봉이 시작된 것은 1987년. 그후부터 지난해 말까지 중국을 방문한 대만인은 약 1천5백만명에 이르고 있고 대만을 방문한 중국 본토인은 약 44만9천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대만의 경우 혈연 및 인척관계에 있는 친척들에 한해서 연 1회 중국 본토방문을 허용하고 있고 방문기간은 3개월 이내로 설정하고 있다. 해마다 1백만명 이상이 중국을 찾고 있다.
중동지역에서는 팔레스타인들이 요즈음 52년만에 헤어진 가족들과 상봉하고 있다고 한다. 1948년 현재의 이스라엘 영토에 살던 팔레스타인들이 이스라엘 침공 후 인근 레바논 등 아랍국가로 흩어졌고 최근 이스라엘이 남부 레바논에서 철군하면서 흩어졌던 가족들이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상봉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유럽의 경우 통독으로 동서독 이산가족문제는 해소된 바 있다. 통독직전까지 매년 수백만명이 상호 방문했다. 요즈음은 북대서양조약기구의 코소보 공습으로 헤어졌던 이산가족들이 다시 재회의 기쁨을 맛보고 있다고 한다. 지구촌 곳곳에서 이산가족의 아픔이 치유되고 있고 냉전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유독 냉전의 분위기가 사라지지 않는 곳이 있다. 정치권이다. 한나라당은 14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이회창 총재와 소속의원들만으로 앞질러 광복절 행사를 치뤘고 부총재만이 정부행사에 참석하도록 했으며 일부 소속의원들은 독도를 방문했다고 한다. 하루 뒤인 15일에는 같은 곳에서 정부주최 광복절 기념행사가 열렸다. 여당 따로 야당 따로 광복절 행사를 했다고 할까.
광복절 행사는 여야를 떠나 민족해방을 기념하는 국가적 행사이다. 특정 정당의 행사가 아니다. 여야는 국정의 공동주체이다. 여야도 이산가족들처럼 상봉해서 불신의 장벽을 허물고 상생의 정치를 해야 하지 않을까.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