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8월 15일은 우리의 고유명절 중 하나로 추석(秋夕) 이나 중추절(仲秋節) 또는 한가위라고도 한다. 한가위라는 말의 유래를 살펴보면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8월 15일인 한가위는 8월의 한 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한가위를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시대 초기였으며,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에 도읍 안의 부녀자들을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7월 15일부터 8월 한가위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삼기를 하였다.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하여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벌이고 춤을 추어 한턱을 내고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놀았다고 한다.
이러한 한가위는 우리 민족에게는 풍요와 넉넉함의 상징이기도 하다. 봄에서 여름동안 땀흘려 씨뿌리고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결실을 맺어 거둬들이는 수확의 계절이고, 기후 또한 여름처럼 덥지도 않고 겨울처럼 춥지도 않아서 살기에 가장 적당한 계절이기도 한 것이다. 한가위 날은 일년 중 가장 크고 탐스러운 보름달이 떠올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절로 풍요로움을 느끼게 된다.
오랜 전통이 있는 한가위에는 여러 가지 놀이와 행사가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다. 햇곡식과 햇과일로 차례상을 차려 한 해에 거둬들인 수확을 조상들에게 알리고, 아침을 먹은 후 조상의 산소에 성묘를 하러갔다. 또한 각 지역에 따라 강강수월래, 씨름대회, 활쏘기 대회와 농악이나 거북놀이 등 많은 놀이를 즐긴다.
그런데 올해의 한가위는 잦은 비와 뒤늦게 불어닥친 태풍으로 자칫 농심을 멍들게 하고 시름의 골을 더욱 깊게 하지는 않았나 염려가 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만 하여라'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 되었다.
이번 한가위는 다른 어느 때보다도 감사함을 잊지 않는 날이 되었으면 한다. 햇곡식 한 톨과 햇과일 한 알에도 조상들과 농민들에게 감사드릴 줄 아는 겸손한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한 마음가짐이 곧 멍들고 상처난 농심(農心)을 달래주는 것이기도 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