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일상의 삶이 회복되지 않고 어려움에 처해 있다. 백신이 개발되고 있다는 소식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으나 여전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현재진행형이며 공포의 대상임에 틀림없다. 인류에는 그동안 스페인 독감, 페스트 등의 크고 작은 역병들이 있었지만, 풍요의 시대에 인류에게 찾아온 세계적인 역병은 거의 처음이다. 인류세를 살아가고 있는 인간은 무한히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줄로 착각하였다. 우리는 부족할 것이 하나도 없을 것만 같았던 시대에 가장 무서운 공포와 맞닥뜨리고 있다.
인류가 코로나19로 인하여 비극적인 상황일 때, 아이러니하게도 환경은 전보다 더욱 활기차게 살아 숨 쉬는 역설을 맞이하고 있다. 인간의 활동이 주춤하거나 멈출 때, 생태계는 스스로 놀라울 정도로 복원할 수 있음을 경험하였다. 즉, 도시의 공기는 맑아지고, 하늘은 푸르러지고, 동물들은 귀환하고, 식생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이는 곧 환경에 대한 인간의 간섭이 극심했음을 눈으로 확인시켜 주고 있다. 인간의 가장 풍요로운 시대는 환경 파괴로부터 얻은 대가이다. 생태계를 파괴하여 얻어진 풍요를 누리는 사이 지구환경은 심각한 위기에 빠져들고 있다. 지금 코로나19는 인류에게 엄중한 경고를 하면서 동시에 인류에게 스스로 나아갈 길을 제시해주고 있다.
우리가 풍요라는 이름으로 누리는 무절제, 과잉소비와 생산, 자원의 남용 등은 지구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고, 다시 우리에게 부메랑으로 되돌아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인간이 생태계의 정점에 있으나 하위 생태계의 받침 속에서만 인간의 삶도 지탱될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깨달아야 한다. 날마다 지구는 뜨거워지는데, 우리는 이에 너무도 무감각하고 무지하다. 기후위기가 지금 우리의 대문 앞에 서서 우리의 삶과 지구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들을 귀가 있는 자는 이 소리를 깨닫고 있다. 깨어 있는 청소년들조차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후행동을 감행하고 있다.
지구환경을 보호하고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서는 생태감수성을 높여야 한다. 우리 세대가 아닌 미래세대의 지속가능한 삶을 담보하기 위하여 다시 생태 교육을 강조해야 한다. 그 시작은 인간이 생태계의 지배자가 아닌 생태계의 일부분이라는 점을 인정하는데 있다. 인간을 생태계의 일부로 분명하게 자리매김 하고 이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생태감수성을 가진 시민들은 전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한다. 글로컬 관점에서 생태계를 바라볼 때, 지구환경 문제를 거시적이면서 실천적인 측면에서 해결할 수 있다.
생태감수성은 환경이 있어 인간이 있다는 진리를 받아들인다. 인간과 환경을 분절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존재임을 이해한다. 이 평범한 지혜를 바탕으로 지금 세대와 미래세대가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고 공생하는 길을 실천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 늦기 전에 지구환경 문제를 우리 자신의 문제로 바라보는 생태감수성을 가져야 하고, 이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생태감수성 교육이 인류를 지속가능한 삶의 세계로 이끌어 줄 것이다. 인간이 스스로 더 늦기 전에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지구환경은 우리 인류에게 멀지 않아 다양한 방식으로 그 책임을 물을 것이다. 그 때는 너무 늦다. 생태감수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경한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