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전주 남부시장에서 독립출판 도서 박람회인 ‘2024 전주책쾌’가 열려 성황리에 마무리 되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제 막 시작된 행사임에도 이미 전주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잡은 듯하다. 조선시대에 책을 유통했던 중개상인 ‘책쾌’를 독립출판 도서 박람회로 끌어와 연결한 것은 아주 탁월한 발상이라 생각된다. 사실 조선시대 전기에는 상업용 출판과 유통이 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의 중앙기관이나 지방의 관아를 중심으로 서책의 출판과 보급이 이루어졌다. 특히 전라감영은 경상감영과 함께 가장 많은 서책을 출판한 곳이기도 하다. 이후 조선 중기 이후 서책 출판의 주체가 확대되고 수요가 늘어나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서 판매를 위한 책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서책을 만드는 데는 나무를 다듬어 목판을 만드는 일부터 판각, 인출 등 단계별로 전문기술자가 필요하고, 또한 적합한 종이도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책을 출판하는 과정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마련이다. 또한 제작된 목판을 보관・관리하는 데도 비용이 수반된다. 일찍부터 전주에서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질 좋은 종이가 생산되고 있었고, 지역의 생산력에 기반한 풍부한 경제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전기부터 전라감영과 전주부를 중심으로 자리 잡은 출판 기술에 조선 후기 경제력의 성장으로 수요층이 확대되고 상업의 발달이라는 변화가 더해지면서 상업용 출판의 중심지가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전주에서 출판된 책을 완판본이라고 한다. 출판 주체에 따라 전라감영이나 전주부에서 출판한 완영본(完營本)과 전주부본(全州府本), 사찰본(寺刹本), 사간본(私刊本) 그리고 민간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인쇄한 책인 방각본(坊刻本)을 아우르는 말인데, 좁게는 판매용 책인 완판방각본(完板坊刻本)을 이르기도 한다.
방각본은 서울을 중심으로 안성, 대구, 전주에서 주로 제작되었는데, 서울의 경판 다음으로 많은 종의 서적이 전주지역에서 간행된 완판이라고 하니 책의 인쇄・출판에서 전주가 가지는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전주지역에서 제작・유통된 완판방각본은 유학경전, 자녀교육용 도서, 가정 생활백과용 등의 비소설류와 한글고전소설류로 구분된다. 특히 한글고전소설류에는 영웅소설과 함께 지역에서 발달한 판소리 문화가 잘 녹아든 판소리계 소설이 포함되어 있다. 완판본 판소리계 한글소설에서는 해서체로 쓰여진 점, 내용이 이야기하듯 구어체로 쓰여지고 제목에도 적용된 점 등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들이 확인된다,
국립전주박물관은 올해 하반기 특별전시로 <서울 구경 가자스라, 임을 따라 갈까부다-조선의 베스트셀러 한양가와 춘향전>(10.1.~’24.1.5.)을 개최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이 개최한 한양의 풍경을 담은 한글 노래를 주제로 한 특별전 <서울 구경 가자스라, 한양가>의 순회전시인데, 본래의 전시에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완판본 판소리계 한글소설인 춘향전을 더해 전주의 출판문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당시 사람들의 눈에 비친 수도 한양의 풍요로운 모습과 전주의 출판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만큼 지역에서 많이 찾아 즐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전시를 둘러보고 완판본문화관, 전주천년한지관 등도 함께 찾아 체험도 하면서 지역에서 자랑할 수 있는 전주의 출판문화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박경도 국립전주박물관 관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