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는 올해도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인구절벽 시대, 추가모집까지 안간힘을 쓰고서도 끝내 정원을 한참이나 채우지 못한 곳이 부지기수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문을 닫는다’는 의미로 지방대의 암울한 현실을 빗댄 이른바 ‘벚꽃엔딩’이라는 표현이 정설처럼 굳어져 회자되고 있다. 지역 거점대학을 포함해 국립대도 이 같은 위기에서 자유롭지 않다. 대학마다 온갖 자구책을 짜내며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지만 소용이 없다. 이대로라면 전국 대다수의 지방대학은 예고된 운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게다가 대학의 몰락은 지역소멸을 부추길 게 뻔하다.
강도 높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국립대가 앞장서 지방대학 위기 극복의 모델을 만들어 내야 한다. 올 초 교육부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을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자연스럽게 지역 거점국립대와 교육대학 통합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나아가 지역 거점 국립대와 교육대학, 그리고 지역중심국립대(후발 국립대)를 포함하는 ‘1도(道) 1국립대’ 통합 방안도 다시 부상하고 있다.
사실 지방대의 위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방 국립대 통합 방안도 이미 오래전부터 추진됐고, 전남대-여수대, 부산대-밀양대, 강원대-삼척대, 강릉대-원주대, 경북대-상주대, 제주대-제주교대 등 전국 곳곳에서 통합 국립대가 속속 출범했다. 전북지역의 경우 지난 2008년 전북대학교와 익산대학 통합 사례가 유일하다. 그나마 거점국립대와 소규모 전문대학의 통합이어서 파급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후에도 전북대-전주교대, 전북대-군산대 간 통합 논의가 있었지만 모두 용두사미로 끝났다. 각 대학 구성원, 그리고 지역사회의 이해관계가 맞섰기 때문이다.
전북대와 군산대, 전주교대 등 지역 국립대 통합 논의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통합 이후 각 캠퍼스를 지역 실정에 맞게 특성화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국립대 통합 논의가 시작되면 대학과 지역사회에 엄청난 논란과 파열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급격한 인구감소 추세 속에서 생존을 위한 통합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학을 넘어 지역소멸의 위기가 현실로 바짝 다가오고 있다.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