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옵니다. 멧비둘기 한 마리가 은행나무에 앉아 사색에 빠졌습니다. 생명은 힘.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것을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죠.
생명과 평화와 통일을 온몸으로 실천했던 문규현 신부님. “사람들은 그를 몸이 먼저 움직이는 행동파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가 쓴 저서들과 감옥에서 쓴 항소이유서 등을 보면 그는 학자의 면모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가 행동으로 무엇인가를 보여주었다면 그것은 치열한 고민과 사제로서 순명에 따른 결과입니다”(275쪽).
〈너 어디 있느냐〉가 하늘에서 비둘기를 내려다보는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문 신부는 삼보일배를 하면서 “하느님의 나라는 모든 생명의 것이라는 사실을”(203쪽)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리트머스 시험지처럼 약자들의 눈물에 즉각 반응합니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활동하고 실천합니다”(237쪽). 생명의 팔을 걸고 푸른 들을 가는 영성을 좋아하기 때문이죠.
평화란 전쟁이 없는 것, 서로 따지며 다투지 않는 것, 안팎의 갈등이 없는 것이죠.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137쪽) 데려오면 평화도 따라오겠죠. “노태우 대통령이 발표한 7·7선언은 남북 동포의 상호 교류 및 해외 동포의 남북 자유 왕래 개방, 이산가족 생사 확인 적극 추진, 남북 교역 문호 개방, 비군사 물자에 대한 우방국의 북한 무역 용인, 남북 간의 대결 외교 종결, 북한의 대미·일 관계 개선 협조 등을 포함하고”(90쪽) 있으니 곰곰 생각해 보기 바랍니다.
통일에는 “다양한 부분을 제시하면서 하나로도 파악되는 관계”라는 의미도 있죠. 비둘기는 308종이라고 합니다. 널리 볼 수 있는 것은 집비둘기와 멧비둘기죠. 분홍 가슴 비둘기도 있어요. 그러나 비둘기는 비둘기. 한민족은 한민족. 문 신부와 임수경은 하나를 하나라 말하고 싶었겠죠. 1989년 8월 15일 14시 20분, 5cm 분단의 벽을 넘은 이유입니다. “그 뒤 소 떼가 넘어갔어요. 이산가족들과 개성 공단 사람들과 금강산 관광객들이 오고 갔고요”(140쪽). “‘지배계급이 인민을 억압 착취하는 도구로 혁명 의식을 마비시키는 아편’이라고 규정되어 있었던 북한의 종교는 ‘초자연적이고 초인간적인 존재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 신이나 하느님과 같은 거룩한 존재를 믿고 따르며 내세의 영원한 행복을 믿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143쪽).
“기도는 희망을 잃지 않는 사람들의 것이고 미래를 향한 것입니다. 기도는 나를 변화시켜 길을 찾게 하고 갈등을 줄이며 불화와 집착을 버리게 합니다”(233쪽). “낮은 데로 눈이 향하면 소외된 것들이 보입니다. 보이면 중요하지 않은 게 없고 차별이 사라집니다. 거기에서 연대가 싹트고 사랑이 생깁니다”(251쪽). ‘그래도 희망입니다’에 제 시에서 꺾은 ‘코끝이 빨간 희망’ 한 송이를 드립니다. 비둘기가 약속이 있다는 듯 날아갑니다. 가지를 박차고 힘 있게 갑니다. 그에게 분단된 하늘이 있을까요? 커피를 홀짝이며 즐거운 이야기를 나누는 부리 위로 온전한 하늘이 내리겠지요.
이영종 시인은
2012년에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아르코 문학창작기금에 선정되어 2023년에 첫 시집 〈오늘의 눈사람이 반짝였다〉를 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