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수많은 협력업체가 도산하고 근로자들의 실직 상태가 지속되면서 군산지역의 조선산업은 붕괴 상태에 직면했다.
이런 가운데 군산조선소의 가동 중단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자 협력업체들은 재생 및 풍력발전사업으로 업종 전환을 고려하거나 사업 다각화를 준비하는 등 저마다의 ‘생존’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년여간 경영난을 겪으며, 체력이 고갈된 협력업체들 스스로가 생존을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기에는 벅차기만 하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자금도 고갈돼 더 이상 버틸 여력도 없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협력업체들의 경영유지 및 경쟁력 강화,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풍력 및 재생에너지 사업에 참여 기회를 부여하는 등 사업 다각화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인프라 구축 시급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이 혁신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새만금 재생에너지(태양광 및 풍력) 사업으로 총 4GW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새만금 방조제의 내측에는 태양광발전으로 2.8GW, 방조제 내·외측에는 해상풍력발전으로 1.2GW(240기)가 들어선다.
또한 새만금해상풍력(주)이 민자로 추진해 새만금방조제 내수면에 설치 예정인 해상풍력발전기 99.2MW(28기) 사업, 군산대에서 군산지역 인근에 실증사업으로 진행 예정인 해상풍력발전기(1기) 사업이 추진된다.
이와 같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에 따른 새만금 재생에너지클러스터 조성의 초석을 마련하고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때문에 해상풍력 및 태양광 구조물, 발전설비플랜트, 후육강관 등의 제조가 가능한 기업의 군산 입주는 필수 조건으로 떠오른다.
△군산조선소 협력업체와 재생에너지사업의 함수 관계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서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등 중량물 제작이 가능한 군간 조선기자재 업체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 예정된 태양광 바지선 및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및 타워는 그 중량 및 크기가 워낙 커서 산업단지와 해상 운반부두가 조성된 군산이 아니면 제작 및 운반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군산조선소 협력업체들은 부피가 크고 하중이 큰 선박블록을 제조했던 업체들로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비와 부지 확보에 이점이 있다. 여기에 일부 협력업체는 이미 풍력하부구조물을 제조해 본 경험이 있어 앞으로 제공될 하부 구조물을 생산·공급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협력업체들은 태양광업체, 조선업체, 발전플랜트업체 등 23개 회원사로 구성, 재생에너지 및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기대 효과
군산지역 조선기자재 업체의 업종 전환 등 사업 다각화는 대기업 의존도를 탈피할 수 있고 자생력이 강화돼 지역경제 재건 및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역 조선산업 자립 및 지속 성장이 가능한 환경 조성을 통해 조선업 반등에 따른 군산조선소 재가동 시 기존 인력의 빠른 대응체계 구축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특히 조선기자재 업체들이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트 구축 사업에 참여할 경우 약 560억 규모의 태양광발전 및 890억 규모의 해상풍력발전 구조물 제작으로 발생하는 생산 및 고용 창출 효과(생산유발 효과 7000억 원, 직·간접고용창출 400여 명)를 기대할 수 있다.
김광중 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피해를 입은 업체들이 재생에너지 사업에 참여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입찰자격에 지역 업체 참여 가점을 높이고 수의계약 등이 가능하도록 법적인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