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올 한해 코로나19 위기 속에 끈끈한 사회적 연대와 공동체 정신을 바탕으로 한발 앞선 대응을 통해 위기극복 모범도시로 주목받았다. 이와 함께 자유로운 상상력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전주다움을 추구, 새로운 도시 모델을 만들어가면서 대한민국 리더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착한 임대운동 등 코로나19 극복 모범
전주시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전국 최초로 ‘착한 임대운동’을 시작했다. 지난 2월 전주한옥마을 건물주 14명이 첫발을 뗀 착한 임대운동은 어려움에 처한 영세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건물주들이 자발적으로 임대료 인하에 나선 운동이다. 정부와 전국 지자체, 공공기관 등 여러 분야로 확산됐다. 정부는 착한 임대인들의 소득세와 법인세를 감면하기로 했으며, 시는 임대료를 낮춘 임대인들의 재산세의 감면했다.
재난기본소득도 전주에서 최초로 지급됐다. 시는 소득 절벽에 직면한 비정규직 근로자와 실직자 등 취약계층 5만여 명에게 1인당 52만7000원씩을 지급했다. 재난기본소득 도입은 이후 경기도와 경남도 등 전국으로 확산됐다.
착한 임대운동과 재난기본소득을 이은 것은 해고 없는 도시 상생선언이다.
노·사·민·정이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코로나19발 대량해고 사태를 막고 지역사회 붕괴를 막는 게 목적이었다.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 대규모 사업장은 물론이고 요식업과 의료업계 등 소규모 사업장까지 동참한 상생사업체들은 해고 없이 고용을 유지하고 고통을 서로 나누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착한 임대운동과 전주형 재난기본소득 지급 등 코로나19 대응에 항상 앞장서온 전주시를 극찬했다.
△ 관광·수소·탄소, 한국 선도하는 도시로
전주는 올해 초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지역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됐다. 정부가 한옥마을을 포함해 전주 전역의 관광자원과 수용태세, 잠재력 등을 우수하게 평가한 결과였다. 시는 2024년까지 5년 동안 국비 500억 원 등 총 1300억 원을 투입해 전주를 대한민국 대표 한문화 관광거점도시, 체류형 문화관광 거점도시로 키울 계획이다.
또한, 국토교통부로부터 ‘수소 시범도시’로도 선정됐다. 이로써 수소 생산부터 저장·이송, 활용까지 수소 생태계가 구축됐다. 대한민국 1호 수소 시내버스가 운행을 시작했고, 삼천동에는 제1호 수소충전소 문을 열었다. 시는 2022년까지 수소 시내버스 50대와 수소승용차 80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도 늘린다는 구상이다.
탄소 분야에서도 대한민국을 이끈다. 지난 11월 전주시 출연기관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한국탄소산업진흥원으로 지정받았다. 시는 수소와 탄소산업이 맞물려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전주다움으로 혁신하는 도시
시는 올해 시민과 동물들을 위한 복지정책에 심혈을 기울였다.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시가 공급부터 운영까지 직접 챙기는 청년 매입임대주택을 전국 지자체 최초로 공급했다. 장애인 전동보조기기 보험사업에 가입했고, 역시 전국 최초로 안락사 위기에 처한 유기동물을 돕기 위한 재활센터 문을 열었다.
시는 시민 중심의 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에도 힘썼다. 전주시립도서관 ‘꽃심’의 트윈세대(12~16) 전용공간인 ‘우주로1216’은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을 연이어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학산 숲 속 시(詩) 전문도서관, 첫 마중 도서관, 아중호수 도서관 등 특화도서관이 속속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지속가능한 혁신도 멈추지 않았다. 대중교통 분야에서 횟수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탈 수 있는 시내버스 정기권이 전국 최초로 도입된 것이 대표적이다. 대중교통이 닿지 않는 교통오지 주민들을 위한 마을버스 ‘바로온’ 시동도 걸었다.
△ 김승수 시장 “대한민국 리더도시로서 전주 운명 바꿀 물길 내겠다”
“상상력과 용기, 사회적 연대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도시, 세계 어딜 가나 전주에서 왔다는 것이 자랑스러운 도시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모두들 전주가 힘들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관광거점도시에 선정됐고, 코로나19 위기를 가장 모범적으로 이겨낸 도시로 인정받으면서 전주라는 도시 브랜드가 몰라보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광역시가 없는 전라북도와 전주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제대로 된 경쟁을 할 수 없었다. 광주가 1986년에 광역시가 됐는데, 그 당시 2배 차이였던 광주와 전주의 예산이 지금은 20배 차이까지 벌어졌다”면서 “이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전주와 전북의 운명을 결정하는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목이 마를 때 어떤 마을은 양동이로 물을 뜨러 다니고 어떤 마을은 아예 물길을 낸다”면서 “전주와 전북은 새로운 물길을 뚫어야만 한다. 그동안 지역균형발전에서 소외된 전주와 전북의 운명을 바꿀 수 있도록 거대한 물길을 내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