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은 1차 세계대전 직후인 1919년에 출간되었다. 유럽의 많은 청년들은 전쟁터에서 데미안을 읽었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것은 학창시절 어느 수업 시간이었다. 양지바른 곳에서 홀로 집중하여 데미안을 읽은 뒤였지만 줄거리조차 잡지 못한 때였다. 하여, 유럽 청년들이 날아오는 총알을 피하며 데미안을 읽었다는 말을 듣고 나는 절망했다. 범접할 수 없는 문해력. 그것을 뒷받침하는 통찰력. 십대의 내겐 없는 것들이 그들에게 있다는 생각으로 한동안 유럽 청년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하기도 했다.
오랜 시간이 흘러 데미안을 다시 읽게 된 것은 얼마 전이었다. 나이 들어 다시 읽으니 줄거리가 선명하게 잡혔다. 유럽 청년들이 데미안을 손에 들고 전쟁터를 누빌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정신적으로 뛰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에서 비롯되었으리라는 생각도 했다.
열 살 소년 싱클레어는 재단사 술꾼의 아들인 악동, 프란츠 크로머를 무서워하고 그가 시키는 대로 한다. “나를 다른 애들과 똑같이 취급한다는 것은 기뻤다. 그 애는 명령했고, 우리는 복종했다. 그러는 것이, 처음 그 애와 함께 있었건만, 마치 오래 해오던 일처럼 여겨졌다.” 싱클레어에게 크로머는 어둠의 세계다. 자신이 다니는 라틴어 학교처럼 밝고 올바른 세계라 믿었던 집에서 늘 보았던, 하녀 리나가 머리 없는 난쟁이 이야기를 하고 이웃 아낙들과 싸움을 벌이는 것처럼 일상적인 세계. 그 세계는 “자주 낯설고 무시무시했”다. “그곳에서는 규칙적으로 양심의 가책과 불안을 얻을지라도.” 싱클레어가 한동안 “가장 살고 싶어한 곳은 금지된 세계 안이었다.” 이처럼 어린 싱클레어는 집안에서 벌어지는 밝고 어두운 세계를 예민하게 포착한다. 평화롭고 사랑 가득한 집에서 소음과 폭력이 난무한 어둠을 인식한다. 두 세계의 간극을 치명적으로 경험한 사람은 싱클레어 자신이다. 자랑삼아 과수원에서 사과를 훔쳤다고 크로머에게 거짓말을 함으로써 겪게 되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데미안을 만난 뒤로 싱클레어는 자란다. 선악에 대한 사유가 끝없이 이어진다. 어린 시절 집에서, 크로머에게서 보았던 어둠을 내면에서 찾는다. 데미안의 엄마인 에바 부인을 만나고 베아트리체를 상상하며 새를 꿈꾸고 선악의 신인 압락삭스로 이끌리며 진정한 자신을 만날 때까지.
적군과 아군이 뚜렷한 전쟁터에서 살아남으려고 죽여야만 했던 유럽 청년들의 정신적 트라우마. 죄책감과 혼돈을 극복하고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길 희망하던 그들에게 책, 데미안은 구원이었을 것이다. 세계는 경험을 통해서 재확인 된다. 1,2차 세계대전과 냉전시대는 오래 전에 끝났다. 한 지역에서 벌어진 전쟁이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다면화된 세계에서 싱클레어의 화두였던 선악 대립은 고리타분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데미안은 여전히 우리에게 필요하다. 세계는 곧 자신이라 말하며 온전한 자기가 되어 보겠다는 싱클레어와 그를 인도하는 데미안이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트려야 한다.”고 응원하기 때문이다.
“나는 워낙 오래 홀로였고, 포기를 연습하고, 내 자신의 고통으로 힘들게 허우적거리는데 익숙했던 터라 H시에서의 이 몇 달은 꿈의 섬처럼 느껴졌다.(p.210/민음사)”는 싱클레어가 되어 데미안을 다시 만나니 깊어진 가을, 스산한 바람이 반갑다.
오은숙 소설가는
2020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납탄의 무게’로 등단했다. 공저로는 <1집 스마트 소설>,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2021 신예작가>가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